정부·산은 “한국GM 장기경영 의지 보여야 지원 가능”

입력 2018-04-23 19:18 수정 2018-04-23 21:19

한국GM 노사가 극적으로 협상 타결에 성공하자 정부와 산업은행도 정상화에 시동을 걸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오후 5시쯤 미국 방문을 마치고 인천공항에 도착하자마자 정부서울청사로 직행해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선 한국GM 노사협상 타결에 따른 지원방안이 논의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타결을 염두에 둔 만반의 준비를 해놓았다”면서 “지원은 신속히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GM 측이 요구하는 외국인투자지역 지정과 관련해 “폭넓게 보고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GM 측의 ‘장기 경영의지’를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정부·산업은행이 한국GM을 지원할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사 합의이고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게 GM 측이 어떤 경영정상화 방안을 내느냐다”고 말했다. 이어 “GM 측이 대주주로서 책임 있는 장기 경영정상화 방안을 내는지 등을 감안해 정부·산업은행의 지원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은행은 지분율(17%)에 맞춰 5000억원의 ‘뉴 머니’를 한국GM에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전제 조건이 있다. GM본사가 27억 달러(약 2조9000억원) 규모의 한국GM 차입금을 주식으로 출자전환하고, 28억 달러(약 3조원)를 새로 투자해야 하며, 2종의 신차를 배정한다는 조건이다. 산업은행이 삼일회계로부터 받은 한국GM 실사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조건을 충족하면 한국GM은 2020년부터 흑자를 낼 수 있다.

뉴 머니 투입을 놓고 GM과 산업은행 사이에 줄다리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GM이 출자전환을 하면 산업은행의 지분율은 1%대까지 떨어진다. GM본사를 견제하기 어려워진다. 때문에 산업은행은 고통 분담 차원에서 GM의 한국GM 지분에 대해서만 출자전환 후 감자하는 ‘차등감자’가 필수라는 입장이다. GM은 이를 거부하고 있다. 차등감자를 하면 대주주의 보유 자본총액이 줄어들고 지분율도 크게 떨어진다. 하지만 GM이 차등감자를 하지 않으면 산업은행은 신규자금을 투입할 명분과 실리를 잃게 된다.

홍석호 기자, 세종=이성규 기자 wi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