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오늘부터 특별 조사 대학 “해당교수 보직해임” 뒷북
10년 전 대학원생 상습 성추행 학교측에 알렸지만 유야무야
오히려 성평등센터장에 임명 피해자엔 “문제 일으키지말라”
대구·경북 대표 국립대학인 경북대학교에서도 ‘미투(#MeToo) 운동’이 점화됐다. 성폭력 의혹이 커지자 대학 측은 담화문을 통해 진상조사 뜻을 밝혔고 교육부도 특별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22일 경북대 등에 따르면 최근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이 경북대 교수의 성폭력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경북대는 담화문을 발표해 의혹이 제기된 해당 교수를 보직해임하고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 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또 재발방지를 위해 학내 성희롱·성폭력 실태 전수조사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교육부도 경북대에 대한 특별조사에 착수했다. 조사는 미투 운동 이후 교육부에 설치된 교육분야 성희롱·성폭력 근절 추진단(단장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담당한다. 추진단 특별조사는 지난달 명지전문대(5∼7일), 서울예대(27∼29일)에 이어 3번째다.
추진단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직원 5명 내외로 조사단을 꾸려 23∼25일 경북대로 파견한다. 성폭력 사건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피해자 보호 조치는 적절했는지, 대학 측이 사건을 적절하게 처리했는지, 의혹이 제기된 교수가 어떻게 성평등센터장이 됐는지 등을 들여다볼 계획이다. 교육부는 “조사 대상은 성비위 교원과 해당 대학 관련자들로 조사 진행 상황에 따라 조사 기간은 연장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부총리는 “교수-학생 등 학내 권력 관계에 의한 성범죄와 이를 은폐하고 축소한 경우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범죄 사실이 확인된다면 해당 교수는 물론 사건을 축소·은폐한 관련자도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앞서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은 기자회견을 열어 10년 전인 2008년 당시 A교수가 연구실 등에서 1년 동안 상습적으로 대학원생이었던 B씨에게 강제로 입을 맞추고 껴안는 등의 성추행을 했다고 주장했다. 또 B씨가 학교 측에 이 사실을 알렸지만 A교수에게 합당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B씨에게 민형사상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합의를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 관계자는 “A교수가 최근까지 교내 성희롱·성폭력 대책 관련 기구에서 보직을 맡았다”며 “경북대는 가해자에게 성폭력 가해자를 징계하는 권한을 주는 등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경북대 민주화 교수협의회도 성명을 통해 “지금까지 언론 등에 나온 내용을 보면 이는 전형적인 권력형 성폭력”이라며 “경북대가 성폭력적 환경을 방조해 왔다는 명백한 증거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이도경 기자 mc102@kmib.co.kr
“성폭력 은폐”… 경북대 미투 폭발
입력 2018-04-2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