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사건이 돈거래 사실까지 새롭게 드러나는 등 갈수록 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보좌관이 드루킹이 이끄는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 회원으로부터 500만원을 받았다가 드루킹이 구속된 뒤 뒤늦게 돌려준 사실이 경찰 수사에서 밝혀졌다.
김 의원의 보좌관은 당초 드루킹으로부터 인사 청탁을 받았던 인물이다. 해당 보좌관은 개인적인 금전거래라고 주장하며 김 의원에게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이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드루킹과 김 의원 측 사이에 돈거래까지 이뤄졌다는 것은 양측이 단순한 관계 이상일 수 있다는 의심이 들게 한다. 김 의원이 메신저 프로그램인 텔레그램을 통해 드루킹에게 메시지를 보낸 데다 또 다른 메신저인 시그널을 이용해 50여 차례 대화를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그널은 텔레그램보다도 보안성이 우수한 메신저여서 비밀 대화 내용과 배경에 대해서도 의혹이 있다.
경찰은 22일 드루킹과 경공모의 활동 기반인 경기도 파주 느릅나무출판사를 압수수색하고 수사인력을 보강하는 등 뒤늦게 분주한 모습이다. 지난달 21일 첫 번째 압수수색 당시 출판사 안팎의 모습을 촬영한 CCTV 영상을 가져오지 않았는데 한 달이나 지난 시점에야 가져온 것은 전형적인 뒷북수사다. 드루킹이 김 의원에게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보냈고 김 의원은 거의 읽지 않았다고 밝혔던 이주민 서울지방경찰청장에 대해 야당은 노무현 정부 때 김 의원과 청와대 국정상황실에서 함께 근무한 경력까지 거론하며 불신하고 있다.
신속한 특검만이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는 길이다. 야 3당 대표와 원내대표는 23일 특검 공조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김 의원도 특검조사를 받아들이겠다고 한 만큼 청와대와 민주당도 특검을 수용하는 정공법으로 정국을 정면 돌파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나흘 앞으로 다가온 남북 정상회담이 이 사건을 덮을 것으로 기대하며 미적거려서도 안 된다. 민족의 운명을 가를 중차대한 일을 의혹을 가리는 데 이용하는 것은 정도가 아니다. 지방선거에서 여권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당리당략 차원에서 특검을 거부하는 것도 옳지 않다.
[사설] 드루킹과 돈거래까지 했다니
입력 2018-04-2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