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勞使 주말 ‘최후 협상’ 돌입

입력 2018-04-20 21:43 수정 2018-04-20 23:29
자동차 부품을 실은 차량이 20일 한국GM 인천 부평공장 앞을 지나가고 있다. 한국GM 노사는 법정관리 데드라인으로 제시됐던 이날 임금단체협약 협상에서 합의안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한국GM은 데드라인을 23일로 연기했다. 뉴시스

한국GM이 ‘법정관리 신청 데드라인’을 23일로 연기하고 주말 동안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 회사 노사는 미국 GM 본사가 앞서 제시한 데드라인인 20일 임단협 합의안 도출에 실패했으나 대화를 더 해보기로 했다.

한국GM 노사는 이날 인천 부평공장에서 오후 1시부터 5시간 넘게 임단협 교섭과 지도부 비공개 면담을 벌였지만 결국 빈손으로 대화를 마쳤다. 노사는 군산공장 노동자 고용보장 문제와 총 1000억원 규모의 비용절감 자구안 등 핵심 쟁점에서 서로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사측은 희망퇴직 후 군산공장에 남은 노동자 680명에 대해 추가 희망퇴직과 부평·창원 공장으로의 전환배치, 5년 이상 무급휴직 시행을 검토하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노조는 5년 이상 무급휴직은 사실상 실직과 같다며 더욱 진전된 안을 요구했다.

한국GM은 교섭 결렬 뒤 이사회를 열었으나 법정관리 신청을 안건으로 상정하지 않고 23일 오후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앞서 미국 본사는 20일까지 노사가 합의하지 않으면 법정관리 신청을 하겠다고 했었다.

노사는 21일부터 23일 오후까지 추가 협상을 한다. 노조 관계자는 “아직 정확한 시간은 잡지 않았지만 주말 동안 교섭 간사 간 협상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노조는 한국GM 이사회가 법정관리를 의결해도 주주총회를 다시 거쳐야 하므로 협상 여지가 더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한국GM 관계자도 “법정관리 신청까지 사흘 말미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한국GM 노사에 대화를 통한 조속한 합의를 촉구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미국에서 콘퍼런스콜(전화회의) 방식으로 국내 관계부처 장관들과 회의를 가졌다. 김 부총리는 “사측은 중장기적 투자계획을 제시하고 노조도 국민 눈높이에서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한국GM이 법정관리 신청을 좀 더 미룰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산업은행이 자금 지원을 위해 한국GM 실사를 진행 중인 데다 산업통상자원부도 GM 공장이 있는 인천과 창원에 대한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을 검토하고 있어서다.

이에 반해 한국GM은 23일까지 극적 타결이 없으면 본사가 공언해온 ‘파산보호(bankruptcy protection)’를 신청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국 제도상으로는 법정관리다.

한국GM은 다음 주부터 비용지급 기한이 줄줄이 다가온다. 25일 사무직·생산직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해야 하고 27일 희망퇴직자 2600여명에게 위로금 5000억원을 줘야 한다. 협력업체 대금도 결제해야 한다. 하지만 자동차 판매 부진으로 현금이 고갈돼 이미 비용지급 불능 상태를 예고한 상황이다.

임성수 우성규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