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구·장난감·강연까지… 지자체 공유경제 ‘활짝’

입력 2018-04-19 05:01
전북 완주군지역경제순환센터 내에 문을 연 ‘나눔곳간’의 모습. 완주군 제공

어린이 장난감과 값비싼 공구(工具), 유명 강사들의 강연까지…. 지자체들이 공유경제 전성시대를 열어젖히고 있다. 핵가족과 1인 가구 등의 증가로 유휴자원을 나눠 활용하자는 공감대와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8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사용빈도가 적은 물건과 도구, 재화 등 각종 자산을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해 그 가치를 높이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지자체들은 수년전부터 조례 제정 등 법적 지원체계를 강화해 공유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추세다. 현재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등 8개 광역단체와 경기 성남시, 경남 거창군, 부산 해운대구, 광주 북구 등 42개 기초단체가 공유경제 확산을 위한 조례를 만들어 시행 중이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전국 최초로 공공기관·지역대학 등에서 진행된 유명 강사들의 강연을 재능기부 받는 ‘빛고을 열린 강연방 아리바다’를 개설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온라인 공간 지식공유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이곳은 2년여 만에 조회수가 22만건을 돌파했다. 광주시는 올 들어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협약을 맺고 한국콘텐츠아카데미 강연내용도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지난 2월 ‘공유도시 완주’ 기본계획을 확정한 전북 완주군은 재단법인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지원센터를 설립하고 ‘나눔곳간’을 활발히 운영 중이다. 나눔곳간은 이따금 사용하지만 구입하기는 부담스러운 전동 드라이버 등 각종 생활 공구와 여행용 가방, 천막 등 26종의 일상용품을 주민들과 공유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완주군은 어린이 장난감과 농기계 임대사업장, 청년쉐어하우스 등을 여럿이 함께 나눠 쓰는 공유경제도 실천하고 있다.

서울 성북구는 낡은 의류를 수선해 어려운 이웃들에게 기부하는 ‘공유옷장’, 주민들이 함께 음식을 만들고 나눠 먹는 ‘주방놀이터’, 돌봄 재능을 통해 공동 육아를 하는 ‘음악놀이터’ 등 다양한 공유경제를 선보였다.

대구시와 수원시는 각종 업무시설과 교회 등이 민간 주차장을 시민들에게 개방할 경우 노면포장과 경계석 설치 등 시설 개·보수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야간·평일 등에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주차공간을 인근 주민들과 공유하는 방식이다.

전주시는 ‘공유경제로 반값 생활도시 전주건설’을 구호로 내건 공유경제촉진위원회를 결성하고 지난 10일까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공유경제 사업을 공모하기도 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공유경제는 가격이 아닌 사회적 관계에 의해 조율되는 21세기의 새로운 경제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며 “지자체들도 시대적 흐름으로 떠오른 공유경제 물결에 합류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