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의 인터넷 여론조작 사건이 확산되면서 국내 포털들의 책임론도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구속된 김모(닉네임 드루킹)씨 일당이 댓글의 공감 수를 늘리는 데 ‘매크로’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이를 막지 못한 포털에 비난이 쇄도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대수술이 요구된다.
네이버, 다음은 이용자들의 체류시간을 최대한 늘려 수익성을 높이려고 뉴스를 해당 언론사가 아닌 자사 플랫폼에서 보여주는 ‘인링크’ 방식을 취한다. 구글 등 해외 유명 포털이 ‘아웃링크’ 방식을 따르는 것과 비교된다. 해당 언론사 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할 필요 없이 네이버나 다음 플랫폼에서 뉴스를 접하고 손쉽게 댓글까지 달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다 공감, 비공감까지 클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론 형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포털들은 댓글 수, 추천 등에 따라 메인화면이나 상위 랭킹 순위에 오를 수 있는 장치도 만들어놓았다. 이러다 보니 편법 프로그램 등을 동원해 여론을 조작하려는 세력들이 달려들곤 한다. 이에 네이버는 2012년 댓글 개수를 제한하는 대책을 내놓았고 지난해에는 인터넷주소(IP)에서 여러 개의 아이디로 로그인할 경우 이를 걸러내는 ‘캡차’라는 방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번에 적발된 드루킹은 매크로라는 ‘창’으로 이런 ‘방패’마저 무력화시켰다.
댓글 조작 행위는 포털이 자초한 측면이 크다. 광고 수익에만 지나치게 매몰돼 방지 시스템 개선에는 등한시한 것이 사실이다. 이제라도 상업성이 아닌 공익적 차원에서 과감한 댓글 개선책을 내놓아야 한다. 편법적인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해 댓글 작업을 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참에 논란이 끊이지 않는 실시간 검색어 순위도 폐지하는 쪽으로 적극 검토돼야 한다. 포털의 사회적 책무가 그 어느 때보다 막중한 시점이다.
[사설] 네이버, 사회적 책무 언제까지 방기할 건가
입력 2018-04-19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