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자살자 줄이기 ‘사활’ 걸었다

입력 2018-04-18 22:23
경북도가 통계자료에 근거한 ‘경북형 2018년 자살예방 시행 계획’을 수립하고 자살률 감소 사업을 집중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경북도의 자살률은 2016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28.8명으로 전국 평균(25.6명)보다 3.2명이 많다. OECD 국가 평균 자살률(12.1명)보다는 16.7명이나 많은 숫자다.

이에 따라 도는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은 자살시도자에 대해서 사례관리를 실시하고 지역사회의 복지의료서비스와 연계하는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관리사업’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자살시도자의 16%는 1년 이내 재시도를 하는데 응급실 방문 자살시도자 중 관리서비스를 받은 이들은 비수혜자에 비해 사망률이 절반 이하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도는 30개의 응급의료기관과 협약을 맺고 자살시도자 100여명에 대해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했고 올해도 협력 응급의료기관 6곳(총 36개곳)을 추가 지정해 서비스를 확대 실시한다.

도는 또 도·농 복합지역으로 타 지역에 비해 농약음독 비율이 2배나 높은 점을 감안해 2015년부터 농약을 안전하게 보관해 충동에 따른 음독을 차단하는 ‘농약 안전함 보급사업’(생명사랑 마을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5년부터 30개 마을 1400여 농가에 농약안전보관함을 보급했으며 올해는 봉화군 등 5개 시·군을 선정해 700여 농가에 추가 보급할 계획이다.

또 지역사회의 촘촘한 생명안전망 구축을 위해 주민들이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게이트키퍼는 선진국에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으로 올해 1만 6000명을 양성한다. 주요 교육대상은 이·통장, 부녀회장, 읍·면·동 공무원, 종교단체 종사자, 방문서비스 종사자, 사회복지서비스 종사자로 자살에 대한 도민들의 민감도를 높이고 생명존중 문화를 활성화한다.

이밖에 생애주기별 대상자와 지역특성에 따른 자살예방사업, 자살유가족에 대한 심리지원 등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안동=김재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