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해소운동’을 시작한다. 대기업 등에 ‘납품·용역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을 준수토록 유도하고,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해소협약 체결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권기홍 동반성장위원장은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4기 출범식을 갖고 “이번 동반위를 ‘격차해소 동반위’로 규정할 것”이라며 “한국 사회의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방법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를 줄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반위가 추진하는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해소 협약은 대기업, 공공기관, 협력 중소기업, 동반위가 함께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하는 내용이 골자다. 동반위 참여 위원사에 주요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추가해 올해 안으로 최소 10∼15개 기관과 중소사업자 간 협약을 체결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현재 동반위에 참여하고 있는 대·중견기업 위원사는 삼성전자, 포스코, 현대차, LG화학, GS리테일, SK, 롯데백화점, 송원그룹, 캠시스, CJ제일제당 등이다. 동반위는 협약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동반성장지수에 운동 참여 실적을 반영할 방침이다. 참여 대기업은 ‘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을 준수하고 임금격차 해소형 상생협력 모델을 자율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은 납품·용역대금 ‘제값 쳐주기’ ‘60일 이내 제때 주기’ ‘상생결제 시스템으로 주기’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임금격차 해소’ 팔 걷은 동반성장위
입력 2018-04-17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