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철도안전에 올 2조5000억 투입

입력 2018-04-17 19:15
정부가 노후한 철도시설 개량 등 철도안전 확보를 위해 올해 2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현장 작업자의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작업안내서도 정비한다.

국토교통부는 국민이 안심하고 탈 수 있는 철도 구현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8년 철도안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철도안전 시행계획은 철도안전법에 따른 철도안전 종합계획의 연간 계획이다. 국토부와 철도공사(코레일), 교통안전공단 등 25개 철도 유관기관이 올해 철도안전 목표와 정책 방향을 확정한다.

올해 계획은 사망자 5명 이상의 대형 사고를 없애고 최근 3년 대비 철도 사고는 15%, 철도 사망자는 5% 줄이는 것을 목표로 만들었다. 이를 위해 1조6000억원을 들여 노후 도시철도의 시설 개량과 노후 철도역 증·개축 등 안전시설을 확충한다. 지진에 대비한 고속철도의 내진 보강을 당초보다 앞당겨 올해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광운대역이나 온수역 사고 등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현장 작업자의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대책도 중점 추진한다. 모든 운영 기관의 현장 작업안내서는 종사자 안전을 우선으로 전면 재정비한다. 또 주간 선로점검 시간도 현행 1시간에서 점차 확대하고 철도시설 개량사업 등은 운행시간 종료 후에 집중 시행한다.

사물인터넷(IoT)·드론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한 철도안전 관리도 확대한다. 특히 IoT 기술을 활용해 철도 차량·시설의 이상 상태를 실시간 감지·대응키로 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선 위험도 높은 요소들을 사전 예보하고 집중 관리한다. 철도차량을 관리하는 조직·인력·기준 등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 기준도 마련한다.

세종=서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