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의혹 사건에 대해 그동안 모른다고 일관했던 청와대가 16일 오후 늦게 그 동안 밝히지 않았던 경과를 공개했다. 김경수 민주당 의원이 기자회견을 한 직후다. 문재인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 의원을 감싸기 위해 그동안 침묵을 지켰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청와대에 따르면 김 의원은 지난해 대선이 끝난 뒤 김모(48·닉네임 드루킹)씨의 제안을 받아들여 오사카 총영사 자리에 A변호사를 추천했다. 청와대 인사수석실은 당시 오사카 총영사 임기가 많이 남아 있어 추천 사실만 접수한 뒤 올해 들어 인사 검증에 나섰다. 이어 부적합 결정을 김 의원에게 전달했고, 김 의원은 이를 김씨에게 알렸다. 이에 격분한 김씨가 협박하자 김 의원이 지난 2월 백원우 청와대 민정비서관에게 신고했고, 백 비서관이 지난달 초 A변호사를 만났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하지만 백 비서관은 A변호사와의 면담 이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또 협박 당사자인 김씨는 만나지도 않은 뒤 사건을 종결 처리했다. 청와대는 당시 민정수석실이 사실관계를 어느 정도 파악했지만 지난 14일 김 의원과 김모씨의 관계가 알려진 뒤에도 “사건을 모른다” “청와대는 관계없다”는 태도로 일관했다.
청와대는 백 비서관이 후속 조치를 하지 않은 데 대해 “A변호사가 면담에서 ‘일본 지진을 막기 위해 오사카 총영사로 가야 한다’는 등의 황당한 얘기를 해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김씨를 만나지 않은 데 대해서는 “김씨 연락처가 없어 우선 연락이 가능했던 A변호사를 만났다”고 했다. 그동안 계속 몰랐다고 답변한 데 대해선 “민정수석실에서는 사건을 알고 있었지만 그 외에는 잘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민정비서관실의 실무자급이 아닌 백 비서관이 직접 나설 필요가 있었느냐는 의문은 여전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김 의원이 문 대통령과 가까운 사이인 만큼 대통령의 가족과 측근을 관리하는 민정비서관이 나서서 진상을 파악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모른다”→“사실은…” 靑의 뒤늦은 해명, 김경수 감싸기 논란 불러
입력 2018-04-16 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