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13일 청와대에서 단독 회동했다. 두 사람의 단독 회동은 처음이다. 대화는 남북 정상회담 등 외교안보 현안에 집중됐고, 홍 대표가 제기한 국내 현안에 대해선 문 대통령이 경청만 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부정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초당적 협력을 당부했다. 홍 대표는 대화는 반대하지 않지만 과거 잘못이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시각차는 여전했지만, 만남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회동 한 번으로 시각차를 극복하는 건 불가능하다.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자주 만나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게 중요하다. 대통령의 열린 자세가 우선이다. 야당의 고언에 귀를 기울이고 합리적인 비판은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불가피한 부분은 제외하더라도 야당과 관련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야당도 외교·안보와 국내 현안을 분리해 비판할 건 비판하고 협력할 건 협력해야 하는 게 올바른 태도다. 이번 회동이 초당적 외교안보 협력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비핵화 해법을 둘러싼 북·미 간 입장차가 커 여야의 협력은 절실하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내정자는 북한이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달성하기 전까지 보상은 없다고 못 박았다. ‘단계적·동시적’ 조치를 내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협상의 대전제를 명확히 한 것이다. 쾌도난마식 해법도 원하지 않는다는 대목에선 ‘포괄적 타결-단계적 이행’에 무게를 둔 우리와도 온도차가 느껴진다. 김 위원장을 한·미 정상이 같이 상대하기에 남북 정상회담에 앞서 하나의 비핵화 방안을 마련하는 게 급선무다. 중요한 것은 단계와 시간이다. 김 위원장으로부터 얼마나 신속하고 완전한 핵 폐기를 이뤄내는 시간표를 받아내느냐에 회담 성패가 달려 있다. 단계를 최소화하고 이행 또한 초단기에 완료해야 한다. 정치권은 국내 현안에선 대립하더라도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에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힘이 돼줘야 한다.
[사설] 청와대 단독 회동, 초당적 안보 협력 출발점 돼야
입력 2018-04-14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