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종사자 6.8% “성희롱·성폭력 피해 경험”

입력 2018-04-14 05:04

국가공무원이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 공공부문에서 일하는 이들 가운데 6.8%가 최근 3년 간 직접적인 성폭력 피해를 당했고, 피해자 중 대다수가 별다른 대응을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방지조치 특별점검’에 따라 실시한 기관별 성희롱·성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조사는 국가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종사자 56만9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2일부터 지난 6일까지 4주간 진행됐으며 23만2000명이 응답했다.

직접 피해를 입었다고 답한 6.8% 중 67.3%는 성희롱·성폭력 피해 후 ‘그냥 참고 넘어갔다’고 답했다. 직장 내 동료나 선후배와 의논했다는 응답이 23.4%로 뒤를 이었고 직장상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는 답은 4.5%, 고충상담창구원이나 관련 부서에 신고했다는 응답은 3.0%에 그쳤다.

직장상사나 고충상담원에게 도움을 요청했을 때 사건의 처리 결과에 만족했느냐는 질문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등 부정적 응답이 51.1%였다. 이유로는 ‘가해자에 대한 징계 등 처벌이 미흡해서’(46.5%)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 중 47.2%는 고충상담창구가 운영되는지, 신고를 할 수 있는지도 모른다고 답했다.

여가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근절대책을 보완하고 보완과제를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이숙진 차관은 “공공기관에서 성희롱이나 성폭력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 보호와 사건처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여가부가 중심이 돼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