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이 4월 13일에서 4월 11일로 바뀐다. 국호와 임시헌장을 제정하고 내각을 구성한 1919년 4월 11일을 임시정부 수립일로 봐야 한다는 역사학계 의견에 따른 것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13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앞 야외광장에서 열린 제99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법령 개정을 거쳐 내년부터는 임시정부 수립일을 4월 11일로 수정해 기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기념일을 바꾸기 위해 대통령령인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내년 임시정부 수립 제100주년 기념식은 4월 11일 열리게 된다.
앞서 정부는 1989년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을 4월 13일로 정하고 기념식을 열어왔다. 이는 1919년 4월 13일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는 사료를 근거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국가보훈처는 지난해 9∼12월 정책연구용역을 실시해 ‘임시정부 수립일은 4월 11일이라는 것이 역사적 사실에 가깝다’는 결론을 얻었다. 근거는 4월 11일 임시헌장 발포뿐 아니라 국무원 선임이 이뤄진 점, 1930∼1940년대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이 4월 11일 열렸다는 기록 등이다.
독립운동사연구소는 지난달 학술 심포지엄을 열고 4월 13일을 임시정부 수립일로 보는 근거인 ‘조선민족운동연감’의 오류 가능성 등을 제기하며 정부에 기념일 변경을 제안했다. 조선민족운동연감은 ‘한일관계사 사료집’을 거의 그대로 가져다 쓴 것으로, 근거가 부족하다는 취지였다. 역사학자들은 또 임시정부에서 만든 문서 등을 근거로 제시하며 “4월 13일 임시정부 수립 공포설은 착오와 착오가 거듭돼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
‘임시정부 수립일’ 내년부터 4월 13일 → 4월 11일
입력 2018-04-13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