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사진) 미국 국무장관 내정자는 12일(현지시간) “북한이 핵무기를 돌이킬 수 없게 영구적으로 포기하기 전에는 보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폼페이오 내정자는 이날 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과거 북한과의 협상에서 미국과 국제사회는 너무 빨리 제재를 해제했다”며 “이번에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핵무기 포기에 동의할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역사적 분석은 낙관적이지 않다”면서도 “어렵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건전한 외교를 통해 비핵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또 “미·북 정상회담이 외교적 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낙관한다”며 “하지만 그 자리에서 포괄적인 협상이 체결될 것이라는 환상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과거에 북한의 정권교체를 옹호한 적이 없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이런 발언은 지난해 7월 콜로라도주에서 열린 안보 포럼에서 “미 정부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핵 개발 능력과 핵 개발 의도가 있는 인물을 분리해 떼어놓는 것”이라며 정권교체를 시사한 것과 달라진 입장이다. 그러나 폼페이오 내정자는 의원들의 추궁에 여전히 모든 옵션이 테이블에 있으며 외교적 협상이 결렬될 경우 대북 선제타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그는 민주당 에드 마키 의원이 “핵무장한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은 대재앙”이라고 지적하자 “동의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핵 합의를 파기하거나 수정할 경우 북한과의 협상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각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았다. 폼페이오 내정자는 “김정은은 북한 경제와 정권유지 등 자신의 이해관계를 추구할 뿐 다른 역사적 합의에는 관심을 갖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에서 “폼페이오에 대한 민주당의 일부 우려는 타당하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적절한 자문을 거치지 않고 혼자서 여러 위기를 곡예하듯 다루면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며 폼페이오의 인준을 촉구했다.
같은 날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하원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대북 압박 캠페인과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냈다”며 “미·북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올바른 길로 갈 것으로 조심스레 낙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은 이날 백악관에서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난 뒤 “매우 유익한 얘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한국 특파원들을 만나 “남북 정상회담의 성공도 중요하고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도 중요하다”며 “두 정상회담의 성공 방안과 한반도 비핵화 목표의 평화적 달성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폭넓은 의견 교환을 했다”고 말했다. 조윤제 주미대사는 정 실장과 볼턴 보좌관이 1시간가량 회동했으며, 한·미·일 안보 수장 회담은 따로 열리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폼페이오 “영구적 핵포기 전, 북에 보상 안해”
입력 2018-04-13 18:20 수정 2018-04-13 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