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前)’ 글자를 직함 앞에 붙일지, 뒤에 붙일지를 놓고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소동이 벌어졌다. 전남지사 후보 경선에 나선 장만채 예비후보가 최근 당 선거관리위원회에 대표 경력 표기 방식에 대한 이의를 신청했기 때문이다. 장 예비후보는 전직 직함을 표기할 때 ‘전’ 자를 맨 앞에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내에서는 장 예비후보가 청와대 출신 경쟁자들을 견제하기 위해 이런 이의 신청을 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장 예비후보 주장대로라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문재인정부 대통령비서실 전 비서관’이라는 표현 대신 ‘전 문재인정부 대통령비서실 비서관’이라고 써야 한다. 전자가 후자보다 여권 성향의 유권자들로부터 표를 얻기 유리하다는 분석 때문이다.
하지만 당 선관위는 11일 비공개 회의에서 장 예비후보의 신청을 기각했다. 현직 대통령 이름 앞에 ‘전’이라는 글자가 붙으면 어감이 어색하고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이유였다.
대신 당 선관위는 후보들이 직함의 어느 곳에 ‘전’이라는 글자를 붙여도 무방하다고 결론냈다. ‘문재인정부 대통령비서실 전 비서관’이라고 써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그동안 ‘전 전라남도 교육감’이라고 대표 경력을 적었던 장 예비후보는 ‘전라남도 재선 교육감’으로 대표 경력을 변경했다.
또 당 선관위는 이재명 경기지사 예비후보의 요청을 받아들여 대선 경선 후보 이력도 대표 경력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선관위 판단에 따르면 2017년 대선 경선에 참여한 이 예비후보는 ‘제19대 대선 민주당 경선 후보’라는 대표 경력을 적을 수 있다. 하지만 경쟁자인 전해철 예비후보 측은 12일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 당 차원의 재고를 요구한다”고 반발했다. 당의 공천을 받지 않은 대선 경선 후보는 임의적이거나 한시적인 자격에 불과하다는 이유다. ‘재선 국회의원’이라는 표기를 두고도 논란이 있었다. 현역 의원이 아닌 재선 의원인 경우에도 유권자들이 현역 의원으로 오해하기 쉽다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당 선관위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보고 ‘재선 국회의원’이라는 표기를 허용키로 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
‘전(前)’ 글자 위치는 어디에… 민주당, 여전히 ‘경력표기’ 논란
입력 2018-04-1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