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대가 폐교된 전북 남원 지역에 국립공공의료대학(원)이 세워지게 돼 침체된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을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11일 남원지역에 2022년까지 국립공공의료대학(원)을 설립키로 했다고 발표하자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은 잇따라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송하진 전북지사와 이환주 남원시장은 “국립공공의료대의 남원 설립은 서남대 폐교로 상실감에 빠진 전북도민과 남원시민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적극 지지하고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용호 의원도 “서남대 폐교라는 날벼락으로 상처받은 남원시민의 마음이 다소나마 위로받게 됐다”며 “국립공공의료대 설립이 공공의료를 확충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공공의료대학 설립지를 남원으로 정한 것은 서남대 폐교로 상실감을 느낄 지역을 배려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당정은 공공의대의 정원은 옛 서남의대 정원(49명)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대학 부지는 옛 서남대 캠퍼스와 남원의료원 인근이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2일 성명을 통해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정원 49명의 규모는 공공의료인력 양성이라는 취지에 턱없이 부족하다”라며 “공공의대 정원을 300명까지 확대해 의사들의 독점적인 권력을 탈피하고, 민간에 의존하고 있는 공공의료의 취약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옛 서남대 의대 정원을 배정받은 전북대와 원광대는 반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난달 21일 교육부로부터 ‘향후 보건의료정책에 따라 회수 가능’이라는 조건으로 각각 32명과 17명의 정원을 배정받았던 두 대학은 난감해 하고 있다.
남원=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남원에 공공의료대 설립… 지역사회 반색
입력 2018-04-12 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