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정시 통합시 수능일 11월 초 앞당겨지고
지원 기회 6회 내외로 줄어 대입 단순화·불확실성 감소
수능 절대평가 전환땐 수능 부담 줄고 수업 정상화 효과
만학도 재도전 문은 좁아져
교육부의 대입제도 국가교육회의 이송안을 분석하면 30개가 넘는 경우의 수가 나온다. 다른 작은 변수들까지 고려해 계산하면 100개 가까이 늘어난다. 교육부의 무책임 행정에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를 2022학년도 대입 개편의 그림이 한층 복잡해졌다.
정시·수시 통합될까
정시·수시 통합이 국가교육회의 테이블에 오른다. 통합되면 수능 시험일도 현재 11월 셋째주에서 11월 초로 당겨지고 정시·수시 합쳐 9회까지 가능한 지원 기회가 6회 내외로 줄어들 전망이다. 대입이 단순해지고 수능 성적 확인 후 대학에 지원할 수 있어 불확실성이 줄어드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학생부종합전형에 수능 성적을 활용할 경우 변별력과 공정성이 높아지고 고교 3학년 2학기 수업이 정상화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과도한 수시 쏠림 현상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수능 이후 짧은 기간 대입이 진행돼 학생의 선택권이 줄어든다. 지방대와 전문대 미충원 문제가 발생하며 3학년 2학기 내신 부담이 늘어나고 정성평가 비중이 높은 전형은 촉박한 선발일정 때문에 내실 있는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
수능의 절대평가 전환 여부도 주요 논의 대상이다. 교육부는 수능 전 과목을 9등급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절대평가안, 영어와 한국사에 더해 제2외국어·한문과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나머지는 현행처럼 평가하는 상대평가안, 국어 수학 탐구영역의 원점수를 제공하는 원점수안 3가지를 제시했다.
절대평가안은 수능 부담이 줄고 고교 교실이 정상화되는 효과가 있지만 수능 100% 전형이 힘들어지고 검정고시·만학도 등에겐 재도전의 문이 좁아지는 부작용이 있다.
원점수안은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등 복잡한 점수 체계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과거 원점수 방식의 수능이나 학력고사 시대로 되돌아가는 셈이어서 퇴보란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 표준점수가 없어 선택과목 간 난이도에 따른 점수 보정도 불가능하다. 점수에 따른 대학·학과별 서열화를 조장하는 부작용도 있다.
경우의 수는 30+α
교육부는 정시·수시 통합과 수능 평가 방식을 조합해 5가지 모형을 만들었다(표 참조). 정시·수시 통합과 수능 절대평가가 모형1이다.
수능은 각 입시 트랙의 전형 요소로 활용될 수 있지만 자격고사 수준으로 힘이 빠질 수 있다. 하지만 수능 100% 전형에 예외적으로 원점수를 제공하면 수능의 영향력이 현재의 정시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강화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대표는 “절대평가로 전환하더라도 원점수가 제공되면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정시가 강화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시·수시 통합에 수능은 상대평가를 유지하는 모형2와 원점수를 활용하는 모형3으로 가면 수능의 영향력이 확대돼 전반적인 변별력이 높아지지만 수험생 부담이 크게 늘어난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경우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더 두드러져 퇴행이란 비판이 나올 수 있다.
수시·정시를 지금처럼 분리하고 수능만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모형4를 선택한다면 수능 위주인 정시 모집이 위축되는 흐름이 가속화될 수 있다. 논술 등 다른 전형요소를 정시에 추가하지 않는다면 주요 대학들이 정시를 아예 폐지할 수 있다.
수시·정시 분리에 수능을 상대평가로 유지하는 모형5는 현행 제도와 비슷하다. 대입제도 변경에 따른 피로감이 가장 적지만 교육개혁 의지가 꺾였고 불필요한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 다만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폐지되면 수시와 정시가 완전히 분리돼 수시 합격자들이 수능 시험을 치르지 않아도 돼 수능 영향력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수능 과목 개편은 3가지 안을 만들었다(오른쪽 표 참조). 1안과 3안은 탐구영역에서 차이가 있다. 2안은 수학을 문·이과 통합형으로 치르자는 안인데 지난해에는 불가능하다고 했지만 올해는 논의 테이블로 올렸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려 실질적인 문·이과 통합으로 나아갈 수 있지만 난도 조절 문제, 의대 쏠림 등 후폭풍도 적지 않다. EBS 70% 연계 정책도 ‘폐지’ ‘축소’ ‘유지 및 간접 연계 확대’ 3가지 시나리오가 제시됐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
수시+정시, 수능 절대평가… 경우의 수 30개 넘어 난수표
입력 2018-04-11 18:44 수정 2018-04-11 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