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사전 접촉·일정 표명 “서로 존경심 갖고 비핵화 협상” 김정은,정치국회의서 첫 언급
‘슈퍼 매파’ 볼턴 업무 시작 양측 비핵화 수싸움 본격화… 낙관적 판단은 아직 일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때를 맞춘 듯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한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이는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북·미 사전 접촉에서 긍정적인 메시지가 오갔음을 시사한다. 양측이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화하면서 비핵화를 둘러싼 북·미 간 수싸움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북한과 접촉을 해 왔으며 5월이나 6월 초에 (김 위원장을)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양측은 서로 대단한 존경심을 갖고 만날 것으로 기대한다”며 “북·미 관계는 이전보다 많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북한이 비핵화 협상을 하겠다고 말했고 우리도 그렇게 말했다”며 “우리의 만남은 전 세계를 위해 매우 흥미진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양측이 접촉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다만 당초 5월에 개최될 것으로 알려진 회담 시기를 ‘5월이나 6월 초’로 정정한 것은 예상보다 회담 준비에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북한도 9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회의에서 북·미 대화 개최 사실을 공식화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0일 “김 위원장은 보고에서 조·미 대화 전망을 심도 있게 분석 평가하고 금후 국제관계 방침과 대응 방향을 비롯한 우리 당이 견지해 나갈 전략전술적 문제들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8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 제안을 수용한 뒤 북한이 이를 공개한 건 처음이다.
북한은 회의에서 오는 2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도 처음 공개했다.
북·미가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화했더라도 회담의 성과를 전망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양측은 이제 겨우 실무 접촉을 시작했을 뿐이다. 백악관은 여전히 북한이 주장하는 단계적 비핵화에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다. 이날 업무를 시작한 ‘슈퍼 매파’ 존 볼턴 백악관 신임 국가안보보좌관이 본격적으로 정상회담 준비에 착수하면 비핵화 이행과 관련해 북한에 더욱 분명한 조치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미 언론과 전문가들도 대부분 낙관적이지 않다. 뉴욕타임스는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중단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했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다”며 “미국이 비핵화 합의를 검증하기 위한 수단을 확보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서 “김정은은 정권 생존의 유일한 보증 수단인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이 협상 테이블에 나오는 것은 미국의 선제타격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며 “북·미가 도달할 수 있는 핵 합의는 동결과 일부 시설 해체에 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백악관 청원 사이트 ‘위 더 피플’에 게재된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청원’에 서명한 사람이 25일 만에 10만명을 돌파했다. 청원이 올라온 지 30일 안에 10만명 이상이 지지하면 백악관은 입장을 밝혀야 한다.
한편 이용호 북한 외무상은 10일 모스크바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만나 방북을 요청했고, 라브로프는 이를 수락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라브로프는 그러나 북·러 정상회담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라브로프는 또 중국이 북핵 6자회담 대신 러시아와 일본을 뺀 남북·미·중 4자회담을 미국에 제안했다는 보도도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권지혜 기자 swchun@kmib.co.kr
北·美 ‘긍정 신호’ 교환… 5말6초 정상회담 훈풍
입력 2018-04-11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