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가 먼저 ‘배상하겠다’고 말하도록 학자들이 더 연구해야 합니다.”
서울 광진구 세종대에서 10일 오후 만난 호사카 유지(56) 세종대 독도종합연구소장 겸 일본학 교수는 단호한 목소리로 이같이 말했다. 국내 학자들이 위안부 문제를 지금보다 더 정교하게 논리화해 이를 근거로 일본정부의 진심어린 사과와 배상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호사카 교수는 “일본정부는 당시 위안부가 잘못된 제도가 아니라는 논리를 만들어 국제사회에 알려왔다”며 “한국정부도 이 문제와 관련된 증언·자료 등을 많이 축적했지만 일본정부만큼 정교하게 논리화하진 못했다”고 덧붙였다.
호사카 교수는 이날 오전 세종대에서 ‘일본의 위안부 문제 증거자료집1’ 출판 기자간담회를 갖고 일본정부가 위안부 모집 과정에서 종군 간호사, 식당 종업원, 공장 근로자 등으로 취업시켜주는 것처럼 여성들을 속여 데려갈 수 있도록 제도적 편의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 자료집은 아시아여성기금이 1997년 3월 출판한 ‘정부조사 종군위안부 관계자료 집성’ 문서를 번역해 배경설명과 해설을 더해 발간한 책이다. 이 자료집이 한국에서 정식으로 출판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문서의 출처를 모두 밝혀 책 내용을 원문과 대조할 수 있게 했다.
호사카 교수는 현재로선 일본정부로부터 위안부 문제 관련 사과를 받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근혜정부 당시 맺은 ‘한·일 위안부 합의’가 일본정부에 면죄부를 줬기 때문이다. 그는 “그래서 국내 학자들이 더 연구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에게 다음 계획을 묻자 “위안부 관련 두 번째 책을 출판할 예정”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그는 “한국인이기 때문에 한국에 필요한 일을 당연히 하는 것”이라며 웃었다. 2003년 일본 국적을 포기하고 한국으로 귀화한 그는 독도 영유권 관련 연구 권위자 중 한 사람이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호사카 교수 “위안부 문제, 한국이 더 연구해 日 ‘논리’ 깨야”
입력 2018-04-11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