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평생학습에 ‘명예학위제’ 도입

입력 2018-04-09 22:12
서울시가 평생학습에 명예학위제를 도입해 2022년까지 학위자 3000명을 배출한다. 2022년까지 355억원을 투입해 캠퍼스 100개도 완성한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명예 시민학위제’를 도입해 서울시민 누구나 서울시장 명의의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고 9일 밝혔다. 기존에 ‘서울시민대학’으로 운영하던 평생교육 학습장 명칭은 ‘서울자유시민대학’으로 바뀐다. 서울 전역에 퍼져있는 시민대학 캠퍼스를 총괄할 본부 캠퍼스는 종로구 옛 서울시복지재단 자리에 문을 열었다.

100시간 이상 수업을 들으면 ‘시민학사’를, 200시간 이상(심화과정·사회참여활동 포함) 취득한 시민학사에게는 ‘시민석사’를 수여한다. 또 시민석사 중 심화과정과 일반과정, 사회참여 활동, 개인연구과제를 수행한 이들에게는 ‘시민박사’가 주어진다. 일반대학과 같은 공인 학위는 아니지만 배움에 대한 동기 부여를 위한 제도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는 서울자유시민대학 사업을 위해 2022년까지 335억원을 투자한다. 대부분 인건비와 평생교육진흥원 운영비로 소요될 예정이고 2021년 동남권 캠퍼스 설립도 추진된다. 시민들이 들을 수 있는 강좌 폭도 확대된다. 올 한해 본부캠퍼스를 비롯해 5개 권역별캠퍼스, 대학연계 시민대학캠퍼스 등 34개 캠퍼스에서 432개 강좌가 개설·운영된다. 무엇을 배워야 할지 막막한 사람들에게 상담해주는 ‘학습매니저’도 배치된다. 기존 인문학 중심 강의에서 사회·경제, 환경·생활, 미래학 3개 분야도 추가돼 7개 분야에서 수강생을 모집한다. 대학과 민간 교육기관 협력을 통해 올해 44개 수준인 서울자유시민대학 캠퍼스를 2022년까지 100개로 늘린다.

교육과정 품질관리를 위해서 ‘교육과정 자문단’이 운영된다. 교육과정 설계부터 자문단 심의를 통해 개설강좌를 선정하고 미흡한 사항을 보완하게 된다. 주용태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인문학적 소양을 위한 교육 뿐 아니라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교육을 통해 시민력을 강화하는 평생학습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