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식당 “수거비 아끼려면 스티로폼 그릇 사용 불가피”
“재활용품 사용 규제보다 분해 기술 등 연구 절실”
배달음식점 등 비닐과 스티로폼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업체들이 ‘쓰레기 양산의 주범’으로 몰리며 재활용 쓰레기 대란의 후폭풍을 겪고 있다.
중식당의 경우 대부분이 배달 시 음식 포장에 비닐 랩을 사용하고 고객들이 식사 후 그릇과 음식 잔여물을 모아 넣을 수 있도록 비닐봉투를 제공한다.
서울 강서구 A중식당 사장 김모(45)씨는 “하루 평균 120번 배달을 하는데 수거 시 사용한 비닐봉투와 그릇포장에 사용했던 비닐랩을 모으면 매일 커다란 봉투 하나 분량이 나온다”며 “재활용업체에서 수거를 하지 않아 폐비닐들을 식당 뒤편에 쌓아놓고 있다”고 말했다.
배달 시 스티로폼 그릇을 사용하는 곳도 영향을 받고 있다. 성북구 B분식점 사장 박모(51·여)씨는 “최근 들어 세척 후 분리수거하기 귀찮다는 이유로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말라는 고객들의 요청이 늘고 있다”며 “배달을 대행업체에 맡긴 탓에 건당 3000∼4000원씩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에서 수거 비용까지 지출할 여유는 없다”고 밝혔다.
한국외식업중앙회 관계자는 “과대포장이 문제인 것은 맞지만 무작정 비닐과 스티로폼 사용을 줄이자는 주장은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의 현실을 무시하는 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편의점도 폐비닐 양산의 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8일 “1인 가구를 중심으로 (편의점에서의) 소비가 늘고 있기 때문에 편의점의 비닐봉투 사용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2010년 대형마트와 비닐봉지 판매 금지 협약을 맺고 그해 10월부터 일회용 비닐봉지 대신 종량제 봉투와 종이봉투를 판매·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편의점은 고객이 상품을 소량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원천적으로 금지하기 어렵다. 영등포구 C편의점 점주 한모(39)씨는 “비닐봉투 판매에 시비를 거는 고객들도 많아 때때로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현장에서는 환경부의 재활용 중장기대책이 단순히 일회용 비닐과 스티로폼 사용량을 줄이자는 캠페인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관계자는 “폐자원 처리를 위한 기술개발과 전문 인력 양성은 물론 재활용기술과 에너지 전환기술, 생분해기술 등을 다양하게 연구하는 게 더 효과적인 대책”이라고 말했다.
이사야 이택현 기자 Isaiah@kmib.co.kr
배달음식점·편의점 재활용 쓰레기 대란 후폭풍
입력 2018-04-09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