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경제공동委, 사드보복 해제 문제 논의할 듯

입력 2018-04-08 18:32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청와대 접견실에서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2016년 열린 후 2년 만에 “양국 정상회담 후속조치 이행 점검… 기업애로 포함”

한·중 양국이 우리 정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결정 이후 처음으로 경제공동위원회를 개최키로 합의했다. 한·중 경제공동위에서는 사드 보복 해제 등 양국 간 경제·통상 현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8일 “조현 외교부 2차관과 가오옌 중국 상무부 부부장을 수석대표로 하는 제22차 한·중 경제공동위를 이달 중하순쯤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하는 쪽으로 원칙적 합의를 했다”면서 “구체적인 논의 사항은 양국 당국 간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중 경제공동위가 열리는 것은 2016년 4월 서울에서 21차 회의가 개최된 이후 2년 만이다. 이 회의는 양국 간 경제·통상 의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차관급 연례 협의체로, 1993년부터 매년 개최해왔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사드 배치 결정을 내린 이후 한·중 갈등이 심화되면서 지난해에는 열리지 못했다.

이번 회의에서 양측은 지난해 12월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 후속조치의 이행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의 ‘신(新)북방·남방정책’과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을 연계하기 위한 구체적인 협력사업 발굴 방안도 논의된다. 특히 우리 기업에 대한 중국의 사드 보복 해제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양국 간 기업 애로 등에 대한 논의가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베이징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와 회담을 갖고 중국의 사드 보복을 해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리 총리는 “양국 간 경제·무역 관련 부처 간 채널을 재가동하고 소통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후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은 지난달 30일 문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중국 단체관광 정상화와 롯데마트 매각 절차, 선양 롯데월드 프로젝트, 전기차 배터리 보조금 등 사안에 대해 “이른 시일 안에 가시적인 성과를 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