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대 사태 새국면… 교육부 ‘용역 동원’ 김영우 총장 파면 요구

입력 2018-04-09 05:05

교비횡령 등 비위 대부분 사실… 대학에 2억8000만원 회수토록
이사회 부당행위 등도 적발… 전·현직 임원 18명 승인 취소
신대원 비대위·총학 “환영”


교육부가 김영우 총신대 총장을 용역 폭력 사태의 장본인으로 지목하고 파면을 요구키로 했다. 학생과 교수들이 주장했던 교비 횡령 등 각종 비리 행위도 교육부 실태조사에서 대부분 사실로 확인됐다.

교육부는 “학내 분규 중인 총신대를 조사해보니 학교운영 전반에서 문제점이 확인됐다”고 8일 밝혔다. 김 총장은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교단 부총회장 선출과 관련해 당시 총회장에게 2000만원을 건넨 혐의(배임증재)로 지난해 9월 불구속 기소됐다. 김 총장은 이를 이사회에 보고하지 않았고 이사장은 이런 사실을 파악하고도 징계에 나서지 않았다. 이사회는 김 총장이 임기만료 직전인 지난해 12월 사의를 표하자 사표를 수리한 직후에 별도 선임절차 없이 김 총장을 다시 선임했다.

김 총장은 지난달 18일 총장 연임과 입시 비리에 항의하는 학생들이 농성 중인 장소(종합관)에 용역을 동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김 총장이 직접 (용역을) 불렀고, 이사회 임원 5명은 쇠망치 등을 들고 용역을 이끌고 가 유리창을 깨는 등 물리력을 행사했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소송비용 2300만원가량을 등록금으로 조성된 교비 회계에서 지출했다. 학사업무와 관련 없는 목사·장로 선물용 인삼 대금 4500만원도 교비 회계에서 썼다. 대학원 일반전형 최종합격자 중 총장실 점거를 한 지원자를 떨어뜨리게 하고 이 지원자가 반성문 등을 내자 조건부로 추가 합격시켰다. 계약학과 전임교원을 특별 채용하면서 정당한 채용절차를 거치지 않고 3명을 부당하게 임용했다.

교육부는 대학 측에 김 총장 등 관련자를 중징계(파면)하라고 요구하고 2억8000여만원을 회수토록 했다. 김 총장과 관련 교직원들은 배임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키로 했다. 이사장을 포함해 전·현직 임원 18명은 임원취임승인을 취소한다.

곽한락 총신대 신대원 비대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교육부가 심도 있게 조사한 후 판단한 것으로 본다. 하나님께 순종하며 함께 선을 추구해 온 결과”라고 환영했다. 이어 “이른 시일 내에 총학생회와 교수협의회 등이 회의를 열어 점거농성 및 수업거부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우 총학생회장은 “교육부 발표가 이행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비슷한 사태를 겪지 않도록 활동해나갈 것”이라며 “전산 시스템이 마비돼 증명서 발급 오류 등으로 교외 장학금 신청에서 제외되는 등 피해를 입은 학생들도 있는데 동문회와 교단 총회 차원의 지원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일보는 김 총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연결이 되지 않았다.이도경 최기영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