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 사칭한 SNS 계정까지 등장… 치고 빠지기식 유포 확인 어려워
선관위, 2건 고발·1538건 삭제 요청… 각당, 모니터링도 한계 고민 깊어
6월 지방선거에 가짜뉴스 경계령이 내려졌다. 각 예비후보자 캠프들은 가짜뉴스와의 ‘보이지 않는 전쟁’을 벌이는 중이다. 유포자들은 주로 인터넷에서 치고 빠지는 게릴라전을 펼치기 때문에, 실체 확인도 쉽지 않다. 특히 SNS에서는 후보자를 사칭한 ‘가짜 계정’까지 등장했다. 악성 댓글들과 SNS를 통해 순식간에 퍼지는 일명 지라시(사설 정보지)도 골칫거리다.
더불어민주당 경기지사 후보 경선에서는 ‘혜경궁 김씨’로 불리는 트위터 계정(@08_hkkim)이 논란이 됐다. 이 계정은 민주당 전해철 예비후보자와 문재인 대통령을 비판하는 글을 지속적으로 올렸다. 전 예비후보자 지지자들은 이 계정이 이재명 예비후보자의 부인 김혜경씨 계정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김씨와 영문 이니셜이 같고 이 예비후보자와 관련된 내용을 많이 언급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이 예비후보자는 5일 “아내는 SNS를 하지 않는다. 인신공격을 멈춰 달라”며 의혹을 부인했다. 계정의 실제 주인이 누구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이 계정의 실체를 두고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시장 A예비후보자 본인을 사칭한 계정도 등장했다. 후보자 이름과 사진을 활용한 페이스북 계정이었다. 계정은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동물 사진에 합성해 올렸다. 계정의 진위를 의심한 다른 사용자가 ‘당신 진짜 A후보자가 맞나요?’라는 댓글도 달았다. A예비후보자는 당에 법률 대응을 요청했고, 당은 지난 1월 명예훼손으로 이 계정을 고발했다.
허위로 드러났던 의혹들이 선거를 앞두고 다시 등장하는 것도 고민이다. 3선에 도전하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아들 병역비리 의혹이 대표적이다. 법원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결론 났지만, 인터넷에서는 계속 회자되고 있다. 박 시장 측 관계자는 6일 “법률대응팀이 실시간으로 가짜뉴스를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법적 대응을 통해 유포자를 발본색원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말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월 13일부터 시도별로 전담 태스크포스를 꾸려 비방·흑색선전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지난 4일까지 허위·비방 게시물 2건을 고발했고 9건에 대해서는 경고 조치했다. 법적 조치를 취하지 않고 삭제를 요청한 게시물은 1538건에 달한다. 세부적으로 허위사실 공표가 1065건, 지역·성별 비하가 273건, 후보자 비방이 200건이다.
허위 서명이 포함된 성명서를 이메일로 배포하거나 다른 예비후보자의 이력을 허위로 페이스북에 기재한 경우는 고발됐다. 자신의 페이스북에 경력을 허위로 작성한 경우는 경고 조치를 받았다. 대학을 실제로 졸업하지 못하고 ‘명예졸업’만 했는데 선거운동용 명함에 ‘졸업’이라고 기재한 경우도 있었다.
정당의 고심도 깊다. 당 차원에서 각 후보자를 향한 가짜뉴스까지 모두 모니터링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민주당의 한 선거관리위원은 “가짜뉴스로 당내 경선이 과열된다면 선관위 차원에서 중재를 하거나 사실 관계 확인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후보자에 대한 비방이 아니라 당 전반에 대한 가짜뉴스는 선관위와 별도로 당 차원에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자유한국당은 오는 9일부터 가짜뉴스 신고센터를 본격 가동한다. 한국당 홍보본부장을 맡고 있는 박성중 의원은 “당에서 자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가짜뉴스가 900건이 넘는다. 자체 분석을 거쳐 법적 대응까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판 이종선 신재희 기자 pan@kmib.co.kr
‘SNS 사칭’까지… 6·13 지방선거, 가짜뉴스와의 전쟁
입력 2018-04-07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