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북핵 6자회담 필요할지, 南北美 회담 후 판단”

입력 2018-04-06 19:07

청와대는 6일 “북핵 6자회담이 필요할지 도움이 될지는 남북, 북·미, 남·북·미 정상회담까지 해보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문제”라고 밝혔다. 현 시점에서 6자회담 재개 여부를 논의하기는 너무 이르다는 얘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6자회담은 남북, 북·미, 가능하다면 남·북·미 정상회담 이후 더 안전한 장치, 관련국들의 개런티가 필요하면 하는 것”이라며 “6자회담이 될지, 4자회담이 될지는 그때 판단해보겠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도 5일(현지시간) “우리는 비핵화를 목표로 한 구체적인 조치에 집중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6자회담 재개 여부는 1차적으로 미국과 북한에 달려 있다. 양측 모두 5월 직접 만나 핵 담판을 짓겠다고 한 이상 북·미 정상회담 전 6자회담 재가동은 어려울 전망이다.

단 북한의 태도가 변수다. 북한은 이미 6자회담 탈퇴를 선언했고, 핵 문제는 미국과 해결할 문제라고 해왔지만 북·미 정상회담 전 우군 확보를 위해 다자 틀을 활용하려 할 가능성이 있다.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 역시 한반도 문제의 주도권 확보 차원에서 회담 재개에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가장 적극적으로 6자회담 재개론을 띄우고 있다.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은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월 북·중 정상회담에서 6자회담 복귀 의사를 밝혔다’는 자국 언론 보도에 대해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지켜보면서 최선의 방법을 국제사회와 함께 선택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다만 6자회담이 재개되더라도 차관급 또는 차관보급이 수석대표로 참여하는 과거 틀을 그대로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권지혜 조성은 기자 jhk@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