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5 포항지진의 여진이 100회를 넘기면서 지열발전소에 의한 유발지진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포항시민들이 사태 해결과제를 점검하는 토론회를 열었다. ㈔포항지역사회연구소는 4일 ‘유발지진사태, 포항은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사진).
‘유발지진사태, 원인과 진상 규명의 선결과제’라는 주제 발표를 한 임재현 포항지역사회연구소 국장은 “포항지진을 ‘재난적폐’로 규정하고 철저하게 책임을 가려야 한다는 원칙 아래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1·15지진 재해구호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해 발제한 한국재해구호협회 배천직 박사는 “포항은 한국의 지진재난 구호 체계를 원점에서 수립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한 첫 사례”라며 “피해신고 및 구호기간 연장, 임대아파트 거주자 의연금 지원, 대학생 등록금 일괄 지원 재검토 등 보완대책을 마련해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1·15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장’에 선임된 정상모 한동대 교수는 연구단의 목표에 대해 “정부조사단의 활동과 조사결과에 대해 철저히 검증하고 포항시민과의 소통을 통해 함께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상섭 포항시자원봉사센터 사무국장은 “민관은 지진 대응 과정에서 이재민 책임전담제 운영, 보고체계 일원화 등의 성과를 이뤘지만 일부 상호 협력체계가 미비했던 점은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피해주민을 대표한 김홍제 한미장관맨션 비대위 대표는 “피해를 입은 포항의 건축물에 대한 안전규정은 전국적인 재건축 기준과는 달라야 한다”면서 “대피소 운영도 이재민과의 소통을 통해 탄력 조정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포항=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한국의 재난 구호 체계 원점서 수립할 필요성 확인”
입력 2018-04-04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