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공동체와 민주주의, 시장경제를 견인하는 핵심 공공재이며, 신문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서는 ‘민주주의 펀드’ 조성과 같은 제도적·재정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한국신문협회 주최로 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62회 신문의 날 기념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나선 박성희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학부 교수는 이같이 강조했다.
‘뉴스와 공적 영역, 그리고 민주주의’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박 교수는 “저널리즘이 민주주의의 근간이라는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국가재정의 일부를 투입하는 방안도 고려할 만하다”며 “융합미디어 기금 중 공동체의 민주적 가치 구현과 다양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민주주의 기금’을 두어 뉴스 콘텐츠의 공공성을 도모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언론과 저널리즘의 존재는 민주주의 발전에 필수적”이라며 “신문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선 공적 지원 강화, 뉴스 콘텐츠 유료화, 포털 뉴스 전재료 제값 받기, 사회적 기부·후원 제도 모색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병규 신문협회 회장은 “전문성을 갖춘 기자들이 직접 취재하고 수차례의 검증과 게이트 키핑을 거쳐 생산된 신문 뉴스는 그 내용과 깊이 면에서 인터넷상에 떠돌아다니는 출처 불명의 정보들과 비교할 수 없다”며 “가짜뉴스가 기승을 부릴수록 신문 저널리즘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가짜뉴스 기승 부릴수록 신문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
입력 2018-04-04 1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