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3일 “4월 3일은 제주 양민들이 무고한 죽음을 당한 날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좌익 무장폭동이 개시된 날”이라고 주장했다. 4·3 사건이 공산주의자들의 폭동으로 촉발된 사건이라는 보수 진영의 역사인식을 대변한 것이다.
홍 대표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1948년 4월 3일은 남로당 제주도당 위원장이었던 김달삼이 350명의 무장폭도를 이끌고 새벽 2시에 제주 경찰서 12곳을 습격했던 날”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날을 제주 양민이 무고하게 희생된 날로 잡아 추념한다는 것은 좌익폭동과 상관없는 제주 양민들을 모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홍 대표는 “김대중 전 대통령도 1998년 미국 CNN방송과 인터뷰할 때 제주 4·3은 공산폭동이라고 말한 바 있다”며 “(4·3 사건) 특별법을 개정할 때 추모일을 고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 대표는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 직후 “4·3 사건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과 역사 인식은 다르다”면서도 “제주도의 무고한 양민이 학살당하고 희생당한 것에 대해서는 정당한 진상규명과 보상절차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는 (문 대통령과) 인식이 같다”고 말했다.
김대중평화센터는 지난 1월 보도자료를 내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4·3 사건은 현대사의 치부이자 살아있는 우리들의 수치’라고 정의했다”며 “김 전 대통령의 진심을 왜곡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윤해 기자
홍준표는 여전히 “4월3일은 좌익 무장폭동 일어난 날”
입력 2018-04-04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