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 도산 막지 못하면 실직 재앙 사태 맞게될 것” 정부·노조 신속 결정 요청
노사는 정상화 핵심 조건 임단협 문제 쳇바퀴 돌아
노조, 중노위에 쟁의조정 신청 신규 자금 없으면 부도 우려
생존 위기에 처한 한국GM 협력업체들이 3일 “직원들과 가족들을 살려 달라”며 GM 사태 정상화를 호소하고 나섰다.
하지만 한국GM 노사는 정상화의 핵심 전제조건인 임금단체협상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조는 파업권 확보를 위한 절차인 노동쟁의조정신청서를 중앙노동위원회에 제출해 한국GM의 앞날이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다.
한국GM 부품협력업체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임직원 5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궐기대회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성명에서 “협력업체들의 연쇄 도산을 막아야 한다”며 “그러지 않으면 재앙에 가까운 실직 사태를 맞게 될 것이고, 그것은 국민들의 고통으로 그대로 전이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한국GM과 거래하는 기업체만도 1∼3차를 합하면 3000개가 넘고 여기에 종사하는 종업원도 30만명이 넘는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 모든 협상을 마무리해주고 협상에서 부족한 부분은 차츰 보완해 완성해주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했다.
현재 산업은행의 한국GM 실사, 노사의 임단협, 부평공장과 창원공장에 대한 정부의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검토가 동시에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임단협이 조속히 마무리돼야 GM 본사가 신규 투자 등의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게 한국GM의 입장이다. 하지만 임단협은 군산공장 폐쇄 철회 등에 막혀 진전이 없는 상태다. 여기에다 GM 본사가 “4월 20일까지 해결되지 않으면 부도를 신청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자 노조가 강력 반발하기도 했다. 나아가 노조는 전날 중노위에 노동쟁의조정신청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조정이 결렬되면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
한국GM의 올해 1분기 판매량은 지난해에 비해 급감했다. 지난해 1분기 한국GM은 내수와 수출을 합해 총 14만3058대를 팔았는데 올해엔 12만386대에 그쳐 판매량이 15.8% 줄었다. 특히 내수의 경우 지난해 3만7648대에서 올해 1만9920대(-47.1%)로 줄어 반 토막이 났다. 한국GM 대리점에도 발길이 뚝 끊겼다.
당장 자금 유동성 확보가 시한폭탄이다. 우선 GM 본사는 이달에 돌아오는 한국GM의 만기 차입금에 대해선 실사 마무리 시점까지 만기를 잠정 연장한 상태다. 문제는 신규 자금 유입이 없을 경우 이달 지급키로 한 일시금 등 각종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한국GM 관계자는 “신규 자금 유입 없이는 지금의 자금 수요를 감당하지 못한다”며 “부도를 피하기 위해 노사가 자구안을 만들어야 하는데, 현재는 협상이 소강상태”라고 전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한국GM 협력업체들 “직원·가족 살려 달라” 호소
입력 2018-04-04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