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고성군이 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쓰레기를 처리하는 환경자원사업소 시설 대부분이 지난달 28일 발생한 산불 피해를 입으면서 기능이 완전히 마비됐기 때문이다.
3일 고성군에 따르면 산불로 인해 대형파쇄기와 재활용품 선별동, 소각시설 및 음식물처리시설, 15t 덤프트럭, 5t 집게차, 적치 재활용품 등이 전소돼 89억여원의 피해를 입었다. 2003년 준공한 환경자원사업소는 최초 산불이 발생한 간성읍 탑동리 인근에 위치해 피해가 컸다. 안전진단을 실시해 소각시설을 철거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올 경우 소각시설을 철거하고, 다시 짓는데 92억원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쓰레기 처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현재 고성지역에서는 1일 음식물쓰레기 7t, 일반 쓰레기 41t이 환경자원사업소에 반입되고 있다. 고성군은 강원도, 속초시와 협의를 거쳐 1일 7t의 가연성 쓰레기를 5월 말까지 속초시에서 처리하기로 했지만 전체 물량 처리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속초에서 처리한 7t을 제외한 나머지 쓰레기는 태우지 못하고 모두 매립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는 더욱 문제다. 1일 10t을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은 화재로 제어시스템이 불에 타 자동처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군은 산불 이후 처음으로 지난 2일 10t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했지만 수작업을 통해 불과 2t밖에 처리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군은 음식물처리시설과 재활용품 선별작업에 인력을 증원하기로 했다. 또한 음식처리시설 별도 가동 설비 구축, 장비류 임대 및 구입 등에 나서기로 했다. 구조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소각시설 설치 사업범위를 확정하고 대형파쇄설비와 압축포장설비 등 시설을 신설 및 보수할 계획이다.
군은 시설 원상복구에 최소한 1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군 관계자는 “지금 당장 필요한 쓰레기 압축과 파쇄시설, 압축포장 장비를 마련하려면 국·도비의 조속한 지원이 절실하다”며 “시설 운영이 정상화될 때까지 최소한의 쓰레기를 배출하고,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성=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산불 여파 기능 마비… 고성군 쓰레기 처리 비상
입력 2018-04-04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