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여성·비정규직, 노사정위 참여… ‘경제사회노동위’ 개명

입력 2018-04-04 05:05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참석자 6명이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노사정대표자회의를 열기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문성현 노사정위원장, 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주영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연합회 회장,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뉴시스

노동자와 사용자, 정부의 협의체인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가 설립 20년 만에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 이름을 바꾼다. 회의에 참여하는 이해당사자 범위도 기존 3자 구도에서 청년, 여성 등으로 넓힌다. 4차 산업혁명 등 주요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3개의 의제별 위원회도 갖춘다.

노사정위는 3일 문재인정부 들어 두 번째 노사정대표자회의를 열고 사회적 대화기구 마련 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문성현 노사정위원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연합회 회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김주영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등 6명이 노사정 대표로 참석했다.

이들은 새로운 사회적 대화기구의 명칭을 한국노총이 제안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간판’은 바뀌지만 노동자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다는 기본 원칙은 유지한다. 대신 참여자의 폭을 더욱 넓히기로 했다. 노동자 측에서 청년·여성·비정규직, 사용자 측으로 중견·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포함할 방침이다. 직접 사회적 대화가 필요한 주제를 개발해 정책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당면 현안은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 위원회’ ‘안전한 일터를 위한 산업안전위원회’ ‘사회안전망 개선 위원회’라는 3개의 의제별 위원회를 구성해 대응키로 했다. 최저임금 산입범위 조정이나 실업 시 필요한 사회안전망 구축 등을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다만 노동계에서 제안한 업종별 위원회 구성은 추후에 논의키로 했다. 문성현 노사정위원장은 “이달 중에 3차 회의를 열겠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