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드는 데 30분 넘게 걸리거나 하루 8시간 이상 자는 노인은 인지 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훨씬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수면 습관에 변화가 생기면 치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중앙치매센터장인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은 60세 이상 2893명을 4년간 추적 관찰해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신경학회보 최신호에 발표됐다.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수면 습관과 치매 등 인지 감퇴와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그간 전무했다.
연구결과 정상 노인의 경우 누워서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30분 이상이면 30분 미만보다 인지 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40% 높았다. 총수면 시간이 8시간 이상인 노인도 8시간 미만인 경우보다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70% 치솟았다. 특히 4년간 이런 수면 패턴이 지속되거나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차 늘어난 사람들은 인지 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배로 높아졌다.
반면 수면시간이 8시간을 넘지 않으면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사람은 인지 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오히려 40%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기준을 취침과 기상 시간의 중간점이 새벽 3시인 경우로 정했다. 예컨대 7시간을 자는 노인이라면 11시30분에 잠자리에 들어 6시 반에 일어나는 셈이다.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잠들 때까지 30분 이상 걸린 이들이 4년 후 인지기능이 정상 회복될 가능성이 30% 낮았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잠들려면 30분, 깨려면 8시간 이상 걸리는 노인… ‘치매 위험’
입력 2018-04-04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