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장 영풍 석포제련소의 조업중단 및 폐쇄를 선언하라!”
낙동강 상류 오염원으로 지목된 경북 봉화의 ㈜영풍 석포제련소 때문에 경북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환경단체와 선처를 바라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이 나뉘어 있어 쉽게 결정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영풍제련소 환경오염·주민건강피해 공동대책위원회와 낙동강 부산네트워크는 3일 경북도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 상류의 ㈜영풍 석포제련소는 48년간 중금속 오염물질을 배출하면서 350만 부산시민들의 식수를 오염시키고 있다”며 “시민들의 생명을 담보로 이윤추구에 혈안이 돼 있는 제련소의 영구폐쇄를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달 26일 기자회견에서도 “경북도는 영풍제련소에 예고한 20일 조업정지 처분을 반드시 실시하라”며 “만약 도가 과징금을 부과한다면 이는 제련소 비호로 판단하고 강력 투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영풍제련소는 폐수를 낙동강으로 흘려보내 경북도로부터 조업정지 예고 처분을 받았지만 최종 처분이 과징금 부과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영풍제련소는 지난 2월 24일 폐수 70t을 불법으로 방류했고 폐수처리 시설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다시 폐수 0.5t을 불법으로 방류해 지탄을 받았다.
하지만 영풍제련소 인근 주민들은 경북도에 선처를 요청하고 있다. 조업정지가 내려지면 제련소 인근 석포면 주민·관련 종사자 1만5000여명이 생계에 심각한 타격을 입는다는 설명이다. 이들은 조업정지 20일이 확정되면 제련소 재가동에 3∼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는 주장도 했다.
영풍제련소도 지난달 조업정지 처분 예고에 대한 답변서를 통해 과징금 처분을 요청했다. 조업정지가 되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2022년까지 1600억원을 투입해 폐수를 낙동강으로 흘러 보내지 않는 무방류 체계를 도입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경북도는 원칙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김진현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사태를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해 심사숙고하고 있다”며 “조만간 양측이 만족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동=글·사진 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경북도, 낙동강 오염원 봉화 영풍제련소 딜레마
입력 2018-04-03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