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삼성그룹의 ‘노조 와해 의혹’ 관련 단서를 확보해 3년여 만에 사실상 재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다스(DAS) 소송비 대납 수사를 위해 실시한 삼성전자 압수수색에서 관련 문건을 다수 입수해 분석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2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공형사수사부(부장검사 김성훈)는 노조 와해 의혹 관련 문건 수천 건을 확보해 디지털 포렌식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자료들은 지난 2월 이 전 대통령 수사팀이 삼성전자 서초·수원 사옥을 압수수색할 때 확보한 한 직원의 외장하드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을 새로 발부받아 문건 분석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그룹의 노조 와해 의혹은 2013년 10월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150쪽 분량의 ‘2012년 S그룹 노사 전략’ 문건을 공개한 이후 꾸준히 제기됐지만 삼성은 부인해 왔다. 당시 문건에는 ‘노조 설립 상황이 발생하면 그룹 노사조직, 각사 인사부서와 협조체제를 구축해 조기 와해시켜 달라’는 지침이 담겨 있었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과 민주노총 등이 노조법 위반 등 혐의로 이건희 회장과 임직원을 고소·고발했지만, 검찰은 2015년 1월 “문건 출처가 확인되지 않는다”며 무혐의 처분했다.
이번 문건 확보로 당시 무혐의 처분됐던 의혹에 대한 재수사가 불가피해졌다. 검찰이 이번에 확보한 문건에는 사측이 최근까지도 삼성전자서비스지회 등을 대상으로 노조 와해를 시도하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문건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필요한 조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삼성 ‘노조 와해’ 문건 나왔다
입력 2018-04-02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