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국내 최초로 고성능 전기차용 배터리 소재인 수산화리튬을 생산한다.
포스코는 2일 연간 1500t 규모의 수산화리튬 생산라인을 준공하고, 이달부터 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포스코의 수산화리튬 생산라인은 폐2차전지에서 수거한 인산리튬을 전환 농축 작업을 거쳐 수산화리튬으로 만드는 공정이다. 리튬 회수율이 80% 이상이라 경제성이 높고, 제조 과정에서 고형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불순물 함량도 경쟁사 제품대비 3분의 1 수준이다.
수산화리튬은 탄산리튬과 함께 리튬 2차전지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소재다. 탄산리튬이 주로 노트북과 휴대전화 배터리 등의 소재로 쓰이는 반면 수산화리튬은 고성능 전기차용 배터리에 주로 사용된다.
포스코는 앞으로 인증절차를 거쳐 수산화리튬을 LG화학, 삼성SDI 등 국내외 배터리 제조사에 판매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 업체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수산화리튬을 국산화해 공급하면서 국내 리튬 2차전지 산업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는 2010년 리튬을 직접 추출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뒤 지난해 2월부터 광양제철소 PosLX 공장에서 탄산리튬을 생산하고 있다. 이어 1년여 만에 수산화리튬까지 생산에 성공하면서 연간 2500t(탄산리튬 1000t, 수산화리튬 1500t) 규모의 리튬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됐다.
포스코는 현재 폐2차전지를 활용해 탄산리튬, 수산화리튬을 생산하고 있는데 올해 안에 원활한 원료 수급을 위해 리튬광석으로도 제조가 가능한 설비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또 염호 확보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폐2차전지, 리튬광석, 염수까지 모두 활용 가능한 공장을 완성할 방침이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리튬은 포스코의 핵심적인 신성장동력이며 지난 8년간의 노력으로 상업화 초기단계까지 왔다”며 “리튬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공급하지 못하는 소재를 포스코가 책임진다는 사명의식으로 주요 소재의 국산화에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포스코, 전기차 배터리 소재 수산화리튬 국내 첫 생산라인 준공
입력 2018-04-02 1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