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가 첫 전원회의를 열고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세월호 유가족들이 자유한국당 몫으로 임명된 황전원(55) 위원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서 출범 첫날부터 혼란을 빚었다.
특조위는 29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첫 회의를 갖고 장완익(55) 상임위원을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장 위원장은 4·16 세월호 참사 특조위 위원과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 상임위원 겸 사무처장 등을 지냈다.
장 위원장은 “가습기 살균제 참사와 4·16 세월호 참사는 생명보다 돈을 더 추구했던 자본의 탐욕, 국민의 생명에 위해가 가해지는 상황을 방치했던 국가의 무책임 때문에 발생했다”며 “진실이 드러나지 않으면 생명 경시로 인한 참사가 또다시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진실을 밝히지 못하는 사회는 안전한 사회가 아니므로 피해자에 대한 치유와 회복도 사회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위원이 회의장에 나타나면서 소동이 빚어졌다. 유가족 40여명은 ‘황전원은 사퇴하라’ ‘가만히 있지 않겠습니다’라는 글귀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그의 입장을 가로막았다. 황 위원은 박근혜정부 때 1기 세월호 특조위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하며 진상조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유가족들은 업무방해 혐의로 그를 검찰에 고발한 상태다.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정명선 운영위원장과 유경근 집행위원장은 “황 위원은 과거 세월호 특조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당시 여당과 청와대에 회의 내용을 보고하고 지시받은 대로 이행하며 피해자의 조사 참여를 막았다”며 사과를 요구했다. 황 위원은 “유가족 마음을 아프게 해드린 점 죄송하다. 이번 특조위에선 정부의 피해자 사후지원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는 데 전념하겠다”고 했다. 회의는 오후 2시쯤 끝났지만 황 위원의 사퇴를 요구하는 유가족들의 항의로 퇴장이 1시간 정도 늦어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2일 ‘사회적 참사 진상 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6조에 따라 국회에서 추천한 9명을 특조위 위원으로 임명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16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 ‘안전사회 건설과 관련 제도 개선’ ‘피해자 지원 대책 점검’이 주된 업무다. 위원장 외 상임위원과 비상임위원 각각 4명으로 꾸려졌으며 활동 기간은 조사 개시가 결정된 날로부터 1년 이내다. 기간 내 조사 완료가 어려우면 위원회 의결로 1년 이내에서 활동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사회적 참사 특조위’ 출범 첫날부터 혼란
입력 2018-03-29 23:23 수정 2018-03-30 1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