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 4월 27일 만난다… 의제는 ‘진통’

입력 2018-03-29 18:39 수정 2018-03-29 22:13

비핵화 등 의제 논의했지만 합의 못하고 “계속 협의”
의전 등 실무회담 내달 4일… 통신 실무회담은 추후 확정
중국·일본 정부, 일제히 환영… 北, 방중 결과 따로 설명 안해


3차 남북 정상회담 날짜가 4월 27일로 확정됐다. 남북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포함한 정상회담 의제는 추후 협의하기로 했다.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2007년 10월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간 회담에 이어 11년 만에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이다.

남북은 29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고위급 회담을 하고 다음 달 27일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집에서 ‘2018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데 합의했다. 정상회담 전 의전·경호·보도 문제를 논의할 실무회담을 다음달 4일 판문점 남측 지역에서 열고, 남북 정상 간 핫라인 설치를 위한 통신 실무회담의 날짜와 장소는 추후 확정하기로 했다. 남북은 이날 전체회의와 수석대표 접촉, 종결회의를 통해 3개항으로 된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

우리 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회담 후 브리핑에서 “남북은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이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 평화 정착, 남북 관계 발전에 갖는 중대한 역사적 의미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함께 노력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이 언급한 세 가지는 우리 정부가 남북 정상회담 의제로 제시한 것들이다. 정부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큰 틀의 비핵화 로드맵에 합의한 뒤 5월 북·미 정상회담 때 최종 타결하는 구상을 갖고 있다. 그러나 고위급 회담 공동보도문에는 남북 정상회담 의제는 포함되지 않았다. 회담에서 논의는 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양측은 정상회담 의제 등과 관련해 상호 충분히 의견을 교환했다”며 “다만 그런 것들은 정상 간에 앞으로 논의될 사항이기 때문에 시간을 갖고 충분히 협의해 구체적인 표현을 정하는 것이 좋겠다는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북측 수석대표인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은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의제 문제라는 게 북남 관계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모두 다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은 필요하다면 4월 중 후속 고위급 회담을 열어 의제 문제를 계속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북측은 이날 회담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25∼28일 중국 방문과 북·중 정상회담 결과는 따로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과 일본 정부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반도의 가까운 이웃으로서 남북 양측의 대화 전개와 화해 및 협력 추진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한국 측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