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4개 사업군으로 단순화… 지배구조 개편 경영권 승계 탄력

입력 2018-03-29 05:00

현대자동차그룹이 논란이 돼온 순환출자 구조를 끊는 지배구조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이달 안에 재벌의 지배구조 개편을 완료하라고 촉구한 측면도 있지만 정몽구 회장이 대주주의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 결단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현대차그룹은 28일 그룹사와 대주주 간의 지분 매입과 매각을 통해 순환출자를 완전히 해소한다고 밝혔다.

우선 정 회장 등 오너 일가는 순환출자 해소를 위해 기아차와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 등이 보유한 현대모비스 지분을 사들일 계획이다. 지분 매입을 위해서는 최소 4조5000억원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회장, 정의선 부회장은 현대글로비스 지분을 매각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금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현대차는 주식 매각 과정에서 납부할 양도소득세가 최소 1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대차는 “편법을 동원하지 않는 적법한 지배구조 개편으로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지분거래 이후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는 대주주, 현대모비스, 완성차, 개별 사업군 등으로 단순화된다. 현대모비스는 지배회사가 되고 정 회장은 대주주가 된다. 다른 대기업들처럼 지주회사를 세우는 대신, 현대모비스를 지배회사로 설정해 오너 일가가 사재를 털어 그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이번 지배구조 개편으로 정 부회장으로의 경영권 승계 과정도 단순화될 전망이다. 정 부회장은 현재 현대모비스 지분이 없지만, 앞으로 현대글로비스 지분 등을 매각해 현대모비스의 지분을 대거 매입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만 향후 지분 매입 과정 이후에도 현대모비스 대주주는 정 회장이 된다는 게 현대차 설명이다.

현대차그룹은 그동안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구조를 유지해 왔다. 현대모비스가 현대차 최대주주로 지분 20.78%를 보유하고, 현대차는 기아차 지분 33.88%를 가지는 한편 기아차가 다시 현대모비스 지분 16.88%를 갖는 방식이다. 현대차그룹은 10대 그룹 중 유일하게 순환출자 구조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정부는 신규 순환출자 금지는 물론 기존 순환출자에 대해서도 자발적인 해소를 압박해 왔다.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는 이날 각각 이사회를 열어 인적분할 후 합병하기로 결의했다. 현대모비스 이사회는 투자·핵심부품 사업 부문과 모듈·AS부품 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한 뒤 모듈·AS부품 사업 부문을 현대글로비스와 합병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현대글로비스 이사회도 현대모비스에서 분할된 모듈·AS부품 사업 부문과의 합병을 결의했다.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의 분할합병 비율은 0.61대 1로 결정됐다. 현대모비스는 분할합병 이후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 미래 자동차 핵심 기술 분야에 주력한다. 정 부회장은 글로비스 지분 매각으로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서도 벗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