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중국이 브리핑했다" 한국·일본과 긴밀한 접촉, 최대의 압박작전 성과 강조… 주도권 놓지 않겠다는 의지
북·미 정상회담 촉진 효과
미국은 북·미 정상회담 이전에 북·중 정상회담이 이뤄지자 조금은 떨떠름한 반응이다. 백악관은 27일(현지시간) “오늘 아침 중국 정부가 백악관에 김정은의 중국 방문을 브리핑했다”는 짧은 성명을 발표했다. 북·중 정상회담이 이뤄진 것을 환영한다거나 의미를 부여하는 평가는 없었다.
세라 샌더스 대변인 명의의 이 성명은 “미국은 우리의 동맹인 한국, 일본과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의 최대의 압박작전이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내고 있는 증거로 받아들인다”는 말로 끝을 맺었다.
백악관의 입장은 중국이 북·미 정상회담 이전에 북·중 동맹을 확인하고 연대를 강화한 것에 대해 미국은 한국, 일본과 결속을 다지는 것으로 맞서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 북한이 대화의 자리로 나오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정책인 ‘최대의 압박작전’이 주효한 것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해 미국이 북한 문제 해결의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국무부 정례 브리핑에서는 중국을 경계하는 미국의 본심이 더 드러났다. 헤더 노어트 대변인은 “중국은 러시아 등과 함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에 동의했다”며 “중국이 경제적으로 북한을 돕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북·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중국이 제재에 느슨해지거나 경제 협력을 강화하지 않을까 경계한 것이다.
그러나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중국을 배제할 수 없다는 걸 미국도 잘 안다. 중국은 정전협정의 당사국이어서 북·미가 평화협정을 체결하려 해도 반드시 중국의 동의를 거쳐야 한다. 또 중국은 북한의 최대 교역국이어서 유엔이 결의한 제재의 성공 여부는 절대적으로 중국에 달렸다. 이런 상황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직접 만나 훈수까지 두고 나서면서 미국은 중국의 존재감을 더 신경 쓸 수밖에 없게 됐다.
북·중 정상회담이 북·미 정상회담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으로선 중국이 개입하고 나선 마당에 북·미 정상회담을 늦출 이유도, 거드름을 피울 여유도 없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수락한 지 20일이 지나도록 회담 장소가 정해지지 않은 것은 물론 특사 방문이나 실무회담 등 가시적 접촉이 전혀 없는 상태였다. 미국 내에서는 이러다 정상회담이 무산되거나 연기되는 건 아닐까 하는 의구심도 일었다. 하지만 전격적인 북·중 정상회담이 북·미 정상회담 또한 멀지 않았음을 역설적으로 예고하고 있다.
노어트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북·미 정상회담은 5월 이내에 열리도록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를 중심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무장관과 국가안보보좌관 교체를 이유로 정상회담이 6∼7월로 연기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으나 이를 일축한 것이다.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中에 견제구… “경제적으로 북한 돕지 않기 바란다”
입력 2018-03-29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