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총신대(총장 김영우) 학내 분규에 대한 실태조사를 28일까지 연장키로 했다. 교육부 조사단 측은 26일 “제기된 민원을 해소하고 사실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연장 배경을 밝혔다. 조사단은 재단이사회 인사에 대한 절차적 하자와 용역 동원에 대한 책임 여부 등을 집중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총신대 측은 30일까지 임시휴업 공고를 냈다. 지난 19일부터 5일간 임시휴업을 실시한 이후 두 번째다. 총신대 관계자는 “개설된 강의 대부분이 종합관과 신관에서 실시된다”며 “(학생들이) 두 건물의 점거를 해제하면 임시휴업을 즉시 종료하고 정상 수업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총신대 총학생회 측은 “학교가 사태의 본질을 제쳐두고 수업 일수와 학사 진행 등으로 학생을 협박·회유하고 있다”며 “김영우 총장이 사퇴하고 불법 개정된 정관이 복구될 때까지 농성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총신대 총학생회와 신대원 비상대책위원회 중심으로 이어오던 농성은 총동창회, 교수협의회, 운영이사회,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 총회임원회 등이 규합한 범교단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확대됐다. 범교단비상대책위는 이날 오후 2시 종합관 앞 에덴동산에서 ‘총궐기의 날’ 집회를 열고 김 총장과 재단이사 등의 퇴진을 촉구했다.
집회에서는 지난해 11월 총신대 운영이사회(이사장 강진상 목사) 결의로 7대 총장에 내정된 김형국(경산 하양교회) 목사가 특별 발언에 나서 “당장 내정자직에서 물러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김 총장과 재단이사 15인 전원도 현 사태에 책임을 지고 즉시 사퇴하라”며 “예장합동 교단 당국자들은 총신을 바로 세우는 일에 노력해 달라”고 호소했다.
현장에서는 중년 성도들이 농성 중인 학생들의 손을 잡고 격려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익명을 요구한 A씨(56·여)는 “최근 용역업체 직원들이 농성 중인 학생들을 쇠파이프로 위협하는 장면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며 “아들딸 같은 학생들이 강의실과 집, 교회가 아닌 천막에 머물면서 고난주간을 보내고 있다는 소식에 달려왔다”고 말했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
사진=강민석 선임기자
교육부, 총신대 조사 내일까지 연장… 임시휴업 30일까지
입력 2018-03-27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