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가 너무 많은 민주당 “결선투표 어쩌나”

입력 2018-03-26 05:05
사진=뉴시스

서울·광주시장 후보들 결선투표 도입 요구 거세
잡음 없이 빨리 끝내고 싶은 당 지도부는 부정적 입장
우상호 “박원순 시장은 대선 불출마 선언부터 하라”


더불어민주당이 결선투표(과반득표 후보 부재 시 2차 선거) 도입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지율이 낮은 후보들은 ‘과반 득표 후보 없이 본선을 치를 경우 본선에서 지지자들이 결집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결선투표가 도입되면 후발주자들의 합종연횡을 통한 ‘막판 뒤집기’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최대한 빨리, 잡음 없이 경선을 마무리하고 싶은 당 지도부는 결선투표 도입에 부정적인 분위기가 강하다.

서울시장·광주시장·경기지사 경선 등 유력한 1위 후보가 있는 지역 경선 참여자들이 주로 결선투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전·현직 국회의원 및 장관, 지방자치단체장 등 7명이 출사표를 던진 광주시장 경선에 출마한 강기정 전 의원과 민형배 전 광주 광산구청장 등은 26일 결선투표 요구 입장문을 공식 발표하기로 했다. 민 전 구청장은 25일 “예선이 곧 본선인 상황에서 우리 당 지지자를 통합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결선투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광주시당 당원명부 유출 의혹과 관련해 이용섭 전 의원의 후보 자격 배제를 요구했다. 서울에서는 박영선 우상호(사진) 의원이 결선투표 도입을 공식 요구한 상황이고, 경기에서는 후보자 3인(양기대 이재명 전해철)이 이미 도입에 합의했다.

현재 당헌·당규상 올해 지방선거에서는 지도부와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 결정에 따라 1차 경선에서 2∼3명의 후보를 추려 2차 경선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후보들이 요구하는 결선투표는 1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 후보자가 없을 때, 강제적으로 1∼2위 후보자 간 경선을 한 번 더 치르는 것이다.

당 지도부는 결선투표 도입에 여전히 부정적이다. 당 공관위 핵심 관계자는 “결선투표는 당 지지율이 낮을 때 분위기 제고 차원에서 하는 것이라 현재 당 상황과는 맞지 않다”고 말했다. 다음 달 말까지 광역단체장 경선을 마무리하려는 중앙당 입장에서는 경선 일정을 추가해 잡음을 유발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여당 고위 관계자는 “결선이 도입되면 후보 간 네거티브전이 가열될 텐데, 자칫 본선 경쟁력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 때문에 지도부에선 공관위의 컷오프(공천배제) 권한을 활용해 후보자 2∼3인으로 압축한 뒤 ‘원샷 경선’을 치르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또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 등 외부 요인으로 선거 분위기가 달아오르지 않자, 지지율이 낮은 일부 후보들은 애만 태우고 있다. 수도권 광역단체장 경선에 출마한 한 후보 측은 “상대 후보를 저격해도, 정책을 발표해도, 여론의 주목을 받을 수 없다”며 “이러다간 현재 지지율 순으로 경선이 끝날 것 같다”고 토로했다. 서울시장 경선에 출마한 우상호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시장 경선에 나와야 한다”고 공개 요구했다. 박영선 민주당 의원도 기자간담회에서 “대권에 도전하겠다는 3선 서울시장의 출현은 오히려 문재인정부의 걸림돌”이라고 박 시장을 비판했다.

최승욱 윤성민 신재희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