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준비하는 공기업] 상생과 일자리 창출… ‘사람이 중심’인 경제 만든다

입력 2018-03-26 20:46

공기업은 올해 정부로부터 많은 과제를 받았다. 지방이전을 통해 국가균형발전 가치를 민간으로 확산시켜야 하고 채용비리·부정부패를 척결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춘 새로운 변화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문재인정부의 국정 철학인 ‘사람이 중심’인 경제를 만들기 위한 역할도 해야 한다.

지난해 11월 문재인 대통령은 첫 혁신성장 전략회의에서 “혁신성장의 주체는 국민이고, 그 성과도 국민에게 돌아가야 한다”면서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이 민간의 혁신성장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공기업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새로운 경영 전략을 마련하는 동시에 최근 새로운 수장을 맞은 곳은 조직 정비에 나섰다.

한국중부발전은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 공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국세청 선정 일자리 창출기업, 고용노동부 지정 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 등에 대해 입찰과 계약 집행 과정에서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지역이나 중소기업과 상생을 위한 노력도 눈길을 끈다. 한국전력은 해외시장 개척길에 중소기업과 동행한다. 지난 2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18 세계 스마트에너지 전시회’에 한전은 한국전기산업진흥회, 서광전기통신 등 10개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참가해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들의 일본 시장 수출 판로 개척에 도움을 줬다.

한국수력원자력도 고품질의 다품종 소량생산인 원전산업 특성에 맞게 중소기업과 다양한 협업을 하고 있다. 한수원은 연구개발부터 자금과 인력·교육·경영, 판로지원까지 하고 있다. 한국국토정보공사도 상생희망펀드를 만들어 지역 중소기업을 돕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맞춰 신기술도 접목하고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전기안전 원격감시 시스템을 구축해 전기사고 등을 감시하고 있다. 빅데이터 기술로 ‘전기화재 위험예측·예방’ 서비스도 시작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4차 산업혁명 관련 자격을 신설하고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직무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산업별역량체계 구축에 나섰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삽화=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