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매안 조만간 내부 확정… 공청회 거친 뒤 6월 경매 실시
경매 방식 따라 유불리 엇갈려… 대역폭 확보 3社 경쟁 치열
업계 “경매, 출혈경쟁돼선 안돼 자본 소진 땐 조기상용화 차질”
내년 3월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5세대(5G) 이동통신의 주파수 할당안이 이르면 다음 달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5G를 미래 먹거리로 확신하는 이동통신업계는 주파수 경매 방식과 그에 따른 비용에 온 신경을 쏟는 모양새다. 벌써부터 물밑서 치열한 신경전도 전개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주파수 경매안에 대해 마무리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다음 달 초 경매안을 내부적으로 확정하고, 중순쯤 사업자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청회를 열 계획이다. 이어 오는 5월 5G 주파수 할당 공고를 낸 뒤 접수를 하고, 6월에 경매를 진행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현재 다양한 경매 방식을 시뮬레이션하면서 세부 경매안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동통신 업계는 5G 주파수 경매가 과열경쟁을 유도하는 방식이 돼서는 안 된다고 한목소리로 말하고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5G는 LTE(4G) 때보다 시설 구축비용이 압도적으로 많이 들 것”이라면서 “그런데 주파수 경매까지 많은 돈이 들어간다면 유리하게 주파수를 낙찰 받은 업체가 오히려 ‘승자의 저주’에 빠질 수 있다”고 걱정했다.
다른 이통사 관계자는 “통신사업은 망 구축비용을 서비스와 요금을 통해 회수하는 것”이라며 “망 구축 과정에서 출혈경쟁이 벌어지면 내년 3월 5G 조기상용화 일정까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을 시행하는 상황에서 업계에 막대한 5G 구축비용까지 부담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으로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다”면서 “5G 주파수 경매와 향후 네트워크 구축 과정에서 정부가 비용적인 배려를 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경매 대상인 5G 주파수는 3.5㎓와 28㎓ 대역이다. 대역폭은 각각 300㎒와 3㎓로 예상된다. 주파수 할당은 통상 정부가 대역폭을 블록 단위로 나눠 경매에 부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정부가 주파수 대역별 블록의 기본 단위를 어떻게 구성하느냐가 관건이다. 주파수 기본 단위가 작아지면 최대한 많은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해 이통사 간 경쟁이 치열해진다. 주파수가 도로라면 대역폭은 도로의 폭에 비유된다. 대역폭이 넓을수록 데이터 전송량과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대역폭 확보가 곧 5G 서비스의 품질을 좌우한다는 의미다.
이통 3사 중에서는 SK텔레콤이 대역폭 블록을 균등하지 않게 할당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많은 이동통신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더 많은 대역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비용을 늘려서라도 최대한 많은 대역폭을 확보해 5G 서비스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전략이 깔려 있다.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균등한 대역폭 할당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본력에 밀려 대역폭까지 적게 낙찰 받는다면 5G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주파수 경매’ 벌써 신경전… 이통사 5G전쟁 총성 울렸다
입력 2018-03-26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