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소·중견기업 근로자의 이직률이 5년 만에 5%대로 올라섰다. 반면 대기업 근로자 이직률은 최저치로 떨어졌다. 임금을 비롯해 근무환경이나 복지에서 격차가 벌어진 게 원인이다. 정부가 소득 지원이라는 단기적 해법을 넘어 전반적인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고용노동부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근로자 수 300인 미만 사업체의 평균 이직률은 5.0%다. 300인 미만 사업체의 이직률은 2011∼2012년 2년 연속 5%대를 기록한 후 4%대로 떨어졌다. 2016년엔 역대 최저치인 4.4%까지 내려갔지만 5년 만에 다시 5%대에 진입했다.
반면 대기업 등 300인 이상 사업체의 이직률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300인 미만 사업체와 마찬가지로 2011∼2012년 4%대의 높은 이직률을 보이다가 지난해에 2.8%까지 내려갔다. 2%대를 기록한 것은 2010년 이직률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300인 미만 사업체와의 이직률 격차도 역대 최대인 2.2% 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중소·중견기업의 이직률 상승요인으로 우선 임금 격차가 꼽힌다. 지난해 12월 기준 300인 미만 사업장의 월평균 임금은 360만3000원인 반면 300인 이상은 568만1000원으로 200만원 이상 차이를 보였다. 장시간 노동과 상대적으로 열악한 복지제도 역시 중소기업을 떠나게 만드는 요소다. 여기에다 정규직 일자리 비율도 낮아 안정성이 떨어진다. 지난해 300인 미만 사업체 이직자 69만5339명 중 과반인 37만7145명(54.2%)은 회사 사정 등에 따른 비자발적 이직으로 분류된다.
전문가들은 향후 3∼4년 정부가 연평균 1000만원 정도를 신규 중소기업 취업자에게 지원하는 것만으로 중소기업 이직률을 잡기에는 부족하다고 본다.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 박사는 “정부가 청년을 지원한다면 미래가 있는 탄탄한 기업에 갈 수 있도록 정책을 디테일하게 가야 한다”고 말했다. 임금 보전은 물론 근무환경과 기업문화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 처방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는 얘기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대기업 이직률 7년만에 최저… 중소·중견기업은 ‘이직행렬’
입력 2018-03-26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