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마주앉는 조명균-이선권, 정상회담 기반 다지기 돌입

입력 2018-03-26 05:03
9일 남북 고위급회담이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렸다. 조명균(오른쪽 사진) 통일부 장관과 이선권(왼쪽 사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양측 대표단이 종료회의를 하기위해 회담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뉴시스

4월 말 남북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고위급 회담이 오는 29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다.

통일부는 “북측이 24일 오전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우리 측이 제의한 남북 고위급 회담에 동의해 왔다”고 밝혔다. 북측은 이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3명의 대표단을 내보낼 것이라고 통보했다. 고위급 회담을 위한 실무 사안은 판문점 연락채널로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25일 “남북 정상회담 내부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통일부는 북측에 고위급 회담 개최를 제의하면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파견하겠다고 알렸다. 우리 측 대표단에는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인사가 1명씩 포함된다. 조 장관과 이 위원장은 지난 1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위한 고위급 회담 때 수석대표를 맡은 이후 다시 회담장에 마주앉게 됐다.

남북은 이번 고위급 회담에서 정상회담 날짜와 의제를 주로 협의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남북 관계 진전을 의제로 정한 상태다.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만큼 비핵화에 대한 큰 틀의 로드맵을 도출해 내는 것이 핵심 과제다.

이와 함께 남북기본협정 체결 등 합의 사항을 법제화하는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사항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1일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회 회의에서 “이번 남북 정상회담 합의문에는 앞선 두 차례 회담에서 합의한 기본 사항을 담아 국회 비준을 받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이달 초 대북 특사단 방북 때 합의한 정상 간 핫라인 설치를 위한 후속 조치도 다뤄질 전망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