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참여형 기업 집중 육성… 도서출판·드론 등 신규 지정
2011년부터 1514개 운영 금융·판로 지원 등 혜택
정부가 올해부터 마을기업에 3년간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한다. 특히 청년참여형 마을기업을 집중 육성해 청년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신규 마을기업 88곳을 지정해 지원한다고 25일 밝혔다. 마을기업은 지역주민들이 지역자원을 활용해 수익 사업을 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 회복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일종이다. 행안부는 2011년부터 현재까지 1514개 마을기업(올해 88곳 포함)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마을기업으로 지정되면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고 각종 박람회 참여 기회, 판로 제공 등을 지원받는다. 행안부는 올해 ‘마을기업육성사업 시행지침’을 개정해 지원금 규모도 확대했다. 기존에는 최대 2년간 8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었지만 지침 개정으로 최대 3년간 1억원까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올해 새롭게 지정된 마을기업은 과거보다 사업 아이템이 다양해진 것이 특징이다. 기존에는 농수산물 가공, 카페·급식 운영 등 사업이 대부분이었지만 올해는 도서출판, 문화예술, 드론·보드게임을 활용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 등 신규 사업이 다수 포함됐다.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청년참여형 마을기업’도 집중 육성된다. 올해 신규 선정된 마을 기업에는 회원 50% 이상이 청년으로 구성된 기업이 7곳 포함됐다. 대표적으로 세종시 ‘청년희망팩토리’는 문화공연과 영상, 디자인 분야 지역 청년들이 모여 공동사업을 기획·추진하는 마을 기업이다. 청년희망팩토리처럼 청년참여형 마을기업으로 선정되면 자부담 비율이 20%에서 10%로 줄어든다.
일각에서는 마을기업이 영세하고 전문성이 부족해 경영 어려움을 겪을 우려가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마을기업이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등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만큼 공공기관 우선 구매 등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금융지원을 강화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행안부 통계에 따르면 마을기업의 창업 후 3년 이상 생존률은 94%로 일반 사업자 평균(6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율 역시 국내 중소기업 평균인 4.51%(2015년 기준)보다 높은 경우가 전체 중 54%에 달했다. 윤종인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농촌지역에 대한 장년층 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청년창업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며 “청년참여형 마을기업을 육성해 청년일자리를 마련하고 마을기업에 새 성장동력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마을기업 올해 88개 추가 지정… 보조금도 3년간 1억까지 확대
입력 2018-03-26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