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막오른 G2 무역전쟁… 선제적 대응 절실하다

입력 2018-03-24 05:03
세계 양대 경제대국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포문은 미국이 먼저 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관세를 물리고 중국의 대미투자를 제한하라는 지시를 담은 행정명령에 22일(현지시간) 서명했다. 이 같은 명령은 500억 달러(약 54조원) 상당의 중국산 수입품에 25%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로 이어질 예정이다. 중국도 24시간도 지나기 전에 바로 보복관세로 맞받아쳤다. 30억 달러(약 3조원)에 이르는 미국산 철강, 돈육 등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것이 골자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맞선 형국이다. 이에 따라 세계가 미·중 무역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과 유럽 증시가 나란히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23일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에 전날보다 각각 79.26포인트(3.18%)와 41.94포인트(4.81%) 급락했다. 미·중의 양보 없는 충돌에 따른 여파다. 문제는 G2의 경제전쟁이 격화할 경우 한국이 가장 큰 피해국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과 미국은 1, 2위 무역 상대국일 정도로 우리는 두 나라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5%, 미국은 12%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무역의존도는 지난해 기준으로 68.8%에 달한다. 미·중 어느 한쪽이라도 수출길이 막힐 경우 우리 경제는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얘기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은 비상한 각오로 임해야 한다. 무엇보다 미·중 관계에 대한 모니터링을 대폭 강화하고 통상 현안에 사안별로 선제 대응하는 것이 시급하다. 세계무역기구(WTO) 등과 긴밀한 협조 태세로 미국과 중국의 불공정 무역거래에 공동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수출 지역 다변화로 장기전에도 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