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 존 볼턴 전 유엔대사를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후임으로 전격 임명했다. 그는 대북 선제폭격까지 공개적으로 거론해 온 인물이다. 이로써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지명자, 니키 헤일리 유엔대사로 이어지는 초강경파 3인방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라인 전면에 배치됐다. 이에 따라 오는 4월과 5월 열리는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예상된다.
이번 인사에 담긴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정확히 읽을 필요가 있다. 미국의 대북 강경 전략에 한 치의 양보도 없다는 신호를 남북한을 비롯해 전 세계에 보낸 것이다.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조건 없는 비핵화를 북한에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북한이 구체적인 행동을 먼저 보이지 않는다면 대화에 집착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도 읽힌다. 특히 북·미 정상회담이 실패할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군사적 옵션에 무게를 실을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마냥 대화 분위기에 젖어 있을 때가 아니라는 의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우리 입장에선 새 길이 열리면 그 길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올바른 시각이다.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 흐름을 치밀하게 점검하고 그에 맞게 대비해야 할 때다. 철저한 정책 조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볼턴-폼페이오’ 라인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게 급선무다. 비핵화 이전의 과도기적 북핵 정국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미 공조 수위를 더욱 높여야 한다. 장밋빛 전망만 내놓을 게 아니라 회담 실패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는 신중함이 필요하다. 미국이 동적 행동에 나서는 우려스러운 상황을 막기 위해선 진정한 의미의 비핵화에 나서도록 북한을 적극 설득해야 할 것이다.
[사설] 美 대북 강경파 잇단 기용, 기류 제대로 읽어야
입력 2018-03-24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