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美 철강 관세폭탄 면했다

입력 2018-03-24 05:06

한국이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폭탄’ 부과 대상국에서 제외됐다.

AFP통신은 22일(현지시간) 미국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관세명령 시행을 앞두고 한국을 비롯해 유럽연합(EU),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7개국을 관세부과 대상국에서 제외했다고 보도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상원 재무위 청문회에서 도널드 트럼프(사진) 대통령이 영구적인 해결책을 찾는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관세 중단을 승인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수입 철강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행정명령은 23일 시행될 예정이었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해 외교통상라인이 워싱턴에 총출동해 라이트하이저 USTR 대표 등을 상대로 철강 관세 면제국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전방위 설득전을 펼쳤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연간 400조원에 달하는 대중국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중국산 수입품에 300억∼600억 달러 규모의 관세를 부과하고 대미(對美) 투자를 제한하는 초강력 경제 제재를 발표한다고 미 언론들이 보도했다. 이에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세계경제 1, 2위를 다투는 주요 2개국(G2) 간 무역전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22일 낮 12시30분(한국시간 23일 오전 1시30분) ‘중국의 경제 침략에 대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 대상 품목은 신발과 의류에서 가전, 소비제품에 이르기까지 100여개에 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를 제한하는 조치도 함께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지능(AI)과 모바일 기술 등 최첨단 분야를 지배하려는 중국의 야망에 대응키 위해 투자를 제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이 자기가 팔고 싶은 것은 사라고 강요하고 중국이 사고 싶은 것은 거절하면서 무역 불균형을 비난하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