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아킬레스건 ‘팜벨트’… 中, 맞춤형 보복관세 꺼내나

입력 2018-03-23 05:00

미국이 천문학적인 관세 부과 등 대중국 무역 제재를 발표하기로 하자 중국은 “좌시하지 않겠다”며 보복 조치를 예고하고 나섰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수출하는 대두(콩)의 62%, 보잉 항공기의 25%가 중국으로 오고 있지만 중국의 대미 수출품은 대부분 미국의 비교 우위가 없는 것”이라며 “무역에서 완전한 대등을 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또 미국의 대중국 보복 조치가 각계의 반발을 초래했다고 지적하며 “중·미 양측이 서로 마음을 가라앉히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상호 존중의 원칙에 따라 협력 공영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도 “미국이 무역법 301조를 근거로 보복 조치를 위한 조사에 나선 것은 보호무역주의로 결연히 반대한다”면서 “중국은 권익 훼손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모든 필요한 조치를 통해 합법적 권익을 지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은 실제 미국산 농산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검토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상무부가 지난달 국영기업인 중국량유식품집단 등 수출기업을 불러 대미 무역보복 조치를 제안했다고 21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복 조치에는 미국 팜벨트(농장지대) 주(州)들에서 수출되는 농산물에 대한 관세가 포함돼 있으며, 미국산 대두, 수수, 살아있는 돼지 등을 겨냥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 140억 달러(약 15조원) 규모인 미국산 대두는 3분의 1이 중국으로 수출된다. 중국의 대미 보복 전략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표밭에 타격을 가한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대두와 돼지를 많이 생산하는 상위 10개 주 가운데 8곳, 수수 최다 생산 10개주 가운데 7곳에서 승리했다.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 매각도 보복 조치 중 하나로 거론된다. 중국이 보유한 미국채 물량은 1조1800억 달러(약 1256조원)에 달한다. 다만 중국이 미국채를 매각한다면 금융시장에 엄청난 혼란이 예상돼 중국도 극도로 조심하는 카드다. 아울러 중국 내 아이폰 불매운동과 미국 보잉사 항공기 구매 철회,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 규제 강화 등이 보복 조치로 거론되고 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